수위조절(水位調節)에 의(依)한 관개수(灌漑水)의 제한공급(制限供給)이 포트재배수도(栽培水滔)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ontrolled Water Level for Irrigation Constraint on Growth of the Rice Plant

  • 발행 : 1990.12.29

초록

관개수(灌漑水)의 제한적 공급이 수도(水滔)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관수(灌水)의 공급상태를 담수(湛水)상태(2cm담수), 토양표면으로부터 지하수위 깊이 -17cm, -37cm, -57cm, -77cm, -97cm, -120cm, -145cm로 조절되는 포트에 삼남(三南)벼와 추청(秋晴)벼를 재배하였다. 1. 삼남(三南)벼와 추청(秋晴)벼 모두 담수(湛水)상태에서 재배된 것이 생육 및 수량이 가장 좋았다. 관수의 공급(供給)이 적어질수록 수도(水滔)의 생육 및 수량(收量)이 직선적으로 낮아졌다. 2. 삼남(三南)벼는 추청(秋晴)벼보다 내한성(耐旱性)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남(三南)벼는 지하수위 70cm 이상에서, 추청(秋晴)벼는 50cm 이상에서 수량(收量)에 미치는 생리적 장해(障害)가 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3. 담수상태(湛水狀態)의 수도재배(水滔栽培)에서 출수(出穗)가 가장 빨랐고, 관수(灌水)의 공급량이 적어질수록 직선적으로 출수(出穗)시기가 늦어졌다. 삼남(三南)벼는 추청(秋晴)벼보다 평균 10일 정도 출수(出穗)가 빨랐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rrigation constraint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rice plant. two rice cultivars. Samnambyeo and Chucheongbyeo. were cultured in the pot controlled with different water levels: + 2 cm-submergence, and -17cm, -37cm, -57cm, -77cm, -97cm, -120cm, and -145cm depth from soil surface. 1. Among differently irrigated conditions, submerged condition was the best in growth and yield of both Samnambyeo and Chucheongbyeo. Yield and growth of rice decreased linearly with lowering the water level in sequence. 2. Samnambyeo appeared to be more drought resistant cultivar than Chucheongbyeo. It was regarded that physiologically critical water level on rice yield was about 70cm depth in Samnambyeo and 50cm depth in Chucheongbyeo. 3. The earliest heading date of the rice plant was from submergence condition and the head ing date was linearly delayed with lowering water level in sequence. The heading date of Samnambyeo was about 10days earlier than that of Chucheongbyeo at the same water level.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