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riation of Isoenzym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 Cone and Seed According to Resin Duct Index in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소나무 및 곰솔의 수지구지수(樹脂溝脂數)에 따른 침엽(針葉), 구과(毬果) 및 종자(種子)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동위효소(同位酵素)의 변이(變異)

  • Son, Doo Sik (College of Agriculture, Kyungpook Natl. Univ.) ;
  • Park, Sang Jun (College of Agriculture, Kyungpook Natl. Univ.) ;
  • Hwang, Jae Woo (College of Agriculture and Animal Science, Youngnam Univ.)
  • Received : 1990.10.05
  • Published : 1990.12.31

Abstract

The variation of needle,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and of allelic frequency in isoenzyme, ADH, ME and PGI, according to different resin duct index in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and their hybrids was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With increase of number of resin duc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needle length, needle sheath length, cone size, seed size, seed wing size, 1000 seeds weight, etc. tended to he increased, while number of stomata row in needle to be decreased. 2. As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fo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 cone and seed, most individuals are generally coincided with number of resin duct mostly in Pinus densiflora were not. 3. According to the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obtained from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and their hybrids including introgressive hybrid, the resin duct index, 1000 seeds weight, cone size and neelde sheath length characterized fairly their species. 4. With increase of resin duct index, hybrid index tended to be high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iscriminant analysis and the hybrid index were nearly same each other. 5. With increase of number of resin duct, the allelic frequencies for isoenzyme, ADH-$B_2$, ME-$A_2$ and PGI-$B_1$. $B_2$ tended to increase but those of ADH-$B_3$, ME-$A_4$, and PGI-$B_3$, to decrease. It is thought that this increase of frequency for the former four isoenzymes was resulted in introgressive gene flow from Pinus thunbergii to Pines densiflora and accordingly the frequency of latter three isoenzymes tended to decrease.

소나무, 잡종(雜種)소나무 및 곰솔의 수지구지수(樹脂溝指數)의 변화(變化)에 따라 침엽(針葉), 구과(毬果) 및 종자(種子)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동위효소(同位酵素) ADH, ME, PGI의 대립유전자빈도(對立遺傳子頻度)의 변이(變異)를 조사(調査)한바 다음과 같다. 1. 수지구지수(樹脂溝指數)가 증가(增加)암에 따라 침엽(針葉)의 길이, 엽초장, 구과(毬果)의 크기, 종자(種子)의 크기, 종자(種子)날개의 크기, 종자(種子) 1000립중(粒重)은 증가(增加)하고 침엽(針葉)의 기공열수(氣孔列數)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2. 침엽(針葉), 구과(毬果) 및 종자(種子)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을 판별분석(判別分析) 결과(結果) 수지구지수(樹脂溝指數)와 대채로 일치(一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개체(個體) 따라 일치(一致)하지 않는 개체(個體)도 있다. 소나무 및 잡종(雜種)소나무에서는 10-25% 정도는 일치(一致)하지 않았고 곰솔에서는 거의 일치(一致)하였다. 3. 각(各)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에 의한 정준판별함수(正準判別函數)의 결과 소나무, 이입교잡종(移入交雜種), 잡종(雜種)소나무, 곰솔의 양적형질중(量的形質中) 수지구지수(樹脂溝指數), 종자(種子)의 1000립중(粒重), 구과(毬果)의 크기 및 엽초장이 각수종(各樹種)의 특성(特性)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4. 수지구지수(樹脂溝指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잡종도지수(雜種度指數)도 증가(增加)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잡종도지수(雜種度指數)와 판별분석(判別分析)의 결과(結果)는 거의 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5. 수지구지수(樹脂溝指數) 증가(增加)함에 따라 동위효소(同位酵素) ADH-$B_2$, ME-$A_2$, 및 PGI-$B_1$, $B_2$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의 빈도(頻度)는 증가(增加)하고 ADH-$B_3$, ME-$A_4$, PGI-$B_3$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ADH-$B_2$, ME-$A_2$ 및 PGI-$B_1$, $B_2$의 인자(因子)는 곰솔에서 소나무로 유입(流入)된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인자(因子)가 유입(流入)됨에 따라 ADH-$B_3$, ME-$A_4$, 및 PGI-$B_3$는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