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Impedance Cardiograph and its Application

임피던스 심장기록기의 개발과 응용

  • Kim, Deok-Won (Dept. of Biomedical Eng.,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 ;
  • Kim, Jeong-Yeol (Dept. of Biomedical Eng.,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 ;
  • Kim, Won-Ky (Dept. of Biomedical Eng.,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 ;
  • Park, Sang-Hui (Dept. of Electrical Eng., Yonsei Univ.)
  • 김덕원 (延世大學校 醫科大學 醫用工學科) ;
  • 김정열 (延世大學校 醫科大學 醫用工學科) ;
  • 김원기 (延世大學校 醫科大學 醫用工學科) ;
  • 박상희 (延世大學校 電氣工學科)
  • Published : 1990.03.01

Abstract

The thermodiluton is a standard method to measure cardiac output in clinical medicine. However it has many disadvantages such as expensive instrument and measurement, limited number of measurement, pain, safety problem, and side-effect due to insertion of catheter into heart. Electrical Impedance Cardiography has no such disadvantages and that it can continuously monitor stroke volume, contractility of cardiac muscle, and systolic time interval (STI) as well as cardiac output. While this impedance technique has been widely used and vigorously studied adroad, it is not introduced yet in Korea. Thus an Impedance Cardiograph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introduce this new technique. Its accuracy also has been verified by simultaneous measurement of cardiac output with the thermodilution technique. Finally changes of cardiac function during exercise were also measured.

현재 임상에서 환자의 심박출량(cardiac output)을 측정하는데 널리 쓰이는 열희석법(thermodilution)은 카테터(catheter)의 심장주입에 따르는 위험성, 부작용 및 고도의 기술요구와 측정장비 및 비용의 고가, 측정 횟수의 제한, 환자의 고통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Electrical Impedance Cardiography는 이러한 열의석법의 단점들을 해결하고 나아가서 열희석법과는 달리 계속적으로 심박출량 뿐만 아니라 박동량(stroke volume) 및 심근육의 수축력등 심장의 기계적 기능을 감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외국에서는 널리 쓰이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 상태이나 국내에서는 거의 보급이 안되어 있는 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분야의 국내 보급을 위하여 시제품을 완성하고 임상에서의 표준방법인 열희석법과 동시에 측정하여 기기의 정확성을 확인하였으며 운동 중에 운동부하 증가에 따른 심장기능의 변화도 측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