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 Pets as a Source of Microspoum canis Infection

Microspoum canis 감염원으로서의 애완동물

  • 엠 팔 (인도 구자라트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 에스 엠 다히야 (인도 뉴델리 수의과대학 질병진단학교실) ;
  • 이창우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Published : 1990.12.01

Abstract

The present investigation confirms the zoonotic significance of Microspoum canis infection in five patients who had direct contact with diseased dogs and cats. Typical ringworm type lesions were mainly encountered on the exposed areas of the body. M. canis was isolated from the cutaneous lesions of man ana infected pets ; and also directly demonstrated in skin materials. However, the fungus could neither be recovered from the non-contact group nor from the saprobic environment. The isolates from man, dog, and cat showed similar gross as well as microscopic morphology. Further genetic studies so indicated that all the human and animal isolates of M. canis were(-) mating type. It is believed that transmission of zoophilic dermatophytes from animal to man occurs more commonly with direct exposure. In addition, the epidemiology and preventive measures are also discussed.

Microspoum canis에 감염된 개 및 고양이와 직접 접촉한 경험이 있는 5명의 환자를 조사하여 동물기생체로서의 이 진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ring worm의 전형적인 병변은 신체의 노출된 부위에만 발생하였다. M. canis는 환자와 감염된 애완동물의 피부병변에서 분리되었으며 피부 시료로부터 직접 증명되었다. 그림에도 불구하고 비접촉군과 사물성환경으로 부터는 증명되지 않았다. 사람, 개 및 고양이에서 분리된 진균들은 육안적으로나 현미경적으로 서로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 진균들의 유전학적 연구결과는 교배(-)형이었다. 동물기호성 표재성진균의 전염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자주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감염증에 대한 역학과 예방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