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in and Content Amino Add Composition of Soybean Cultivars

콩 품종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 Published : 1990.10.01

Abstract

Soybean grain, the main source of protein and lipid,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our food resources. Therefore, to abtain and supply protein in safety, soybean must be considered as more and more important and it must be made many efforts in breeding for good quality and high protein. Contents of seed protein of the recommed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were above 40 persents. Soybean seed protein was divided four fractions by solubility differences. Contents of fraction-albumines, globulines, prolamines and glutelines- were 7.59%, 71.43%, 1.32%, and 9.11% to total protein in Jangyeobkong. The major components of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arginine in order, cystein, methionine, and tyrosine were the minor components in soybean seed protein. Soybean seed protein is constituted mostly of 11s and 7s proteins. Contents of methionine and cystein, sulfur containing amino acid, in 11s protein has already identified higher than 7s protein's The yields of soybean cur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luble protein contents of the soybean varieties.

단백질 및 지방질의 주요한 공급원인 콩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우리의 식생활에 이용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단백질 공급원을 위해서는 양질 고단백 콩 신품종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콩 단백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내용들을 정리한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1. 콩 종실 부위중 배아와 자엽은 전체 콩 종실무게의 2.4%와 90.3%를 차지하며 단백질도 건물중으로 40%이상 함유되어 있는 영양적으로 중요한 부분이 된다. 2. 콩 종실 단백질의 대부분은 Globulin이 차지한다. 3. 콩 종실 단백질의 Amino산 조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의 순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Cystine, Methionine, Thyrosine이 적게 함유되어 있다. 4. 콩 종실의 주요 단백질 분획은 7S와 11S로 되어 있으며 11S가 7S보다 함류황 Amino산 함유량이 많다. 5. 콩의 가용성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두부의 수율도 증가했으며 이들의 상관계수는 0.96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