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Drought Period in Different Growth Stage on Agronomic Characters in Sesame

참깨 생육기별 한발기간이 주요형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0.08.01

Abstract

In this study, drought period when important agronomic characters of sesame plant is critical, was examin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Plant death by drought started at 40 days after drought in vegetative growth stage and 20 days, in reproductive growth stage. Obserbed by growth stage, drought damage in reproductive growth stage was more in jurious than vegetative growth stage. All the important agronomic characters was refreshed until 40 days and 20 days after drought in vegetative growth stage and reproductive growth stage respectively, but it could berefreshed after those times. Decrease rate of yield by drought ranged from 29 to 80% in vegetative growth stage and from 49 to 85% in respective growth stage. All the important agronomic characters except rate of ripeness showed positive association with grain yield under drought condition. Oil content in grain was decreaced by drought but composition of fatty acid was not affected by it.

우리나라 참깨 생산성의 저조원인의 하나는 파종기와 생육중의 한발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참깨 재배시 한발조건에 따른 생리적 반응이나 주요 형질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를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발에 의한 참깨의 고사주는 영양생장기는 한발처리 40일 이후부터 생식생장기는 20일 이후부터 나타났다. 2. 영양생장기보다 생식생장의 한발이 피해가 더 컸다. 3. 모든 유용형질들은 영양생장기는 40일 한발까지, 생식생장기는 30일 한발까지 회복이 가능하였으나 그 이후는 거의 불가능하였다. 4. 한발로 인한 참깨의 수량은 한발일수가 연장됨에 따라 감수폭이 컸으며 영양생장기에는 29-80%, 생식생장기에는 49-85%의 감수폭을 보였다. 5. 한발조건에서 등숙율을 제외한 모든 유용형질들은 수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한발로 인한 유분함량은 한발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52%에서 42%까지 감수하였으며, 영양생장기 보다 생식생장기에서 더욱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지방산조성과는 무관하였다. 7. 이상의 결과 참깨는 한발로 인해 stress를 받으면 생육전반에 걸쳐 계속적인 영향을 받아 유용형질들의 완전회복이 불가능하여 수량감소를 가져온다는 사실이 인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