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Decision of Suitable Housing Density in Caged Laying Hens

케이지 산란계의 적정 사육밀도 구명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0.12.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conomic housing density levels on caged laying hen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600 ISA Babcock strain of white coder and 450 ISA Brown strain of brown color for production period(21-72 weeks) from May 11. 1987 to June 27. 1988. The levels of housing density was employed 5 or 6 by hen's color from 272 to 920$\textrm{cm}^2$/per he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zed as follows : 1. Although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housing density levels, The body weight gain for pullet period(14-20 weeks) were in case of white pullet the lowest at the group of high crowding density (272$\textrm{cm}^2$/per pullet) and in case of Brown pullet was the lowest at the group of high crowding density(306$\textrm{cm}^2$/per pullet). 2. Viabillity of pullet from 14 to 20 weeks were more 97% and there ur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housing density. 3. Viabillity of laying hens was increased as increasing housing density through the etire product period(21-72 weeks) but 453$\textrm{cm}^2$/per hen group(in case of brown h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4. Rate of egg production through the etire production period(21-72 week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housing density (P<.05 or .01). 5. Average egg weight through the entire production period(21-72 week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housing density levels at all laying kent 6. In case of white strain, egg mass per hen among treatment during the age of 63-72 weeks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housing density, meanwhile, in case of brown strain were increased by decreasing housing density during the whole perio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all treatment 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in feed intake among the all treatment through the entire production period(21-72 weeks) at the white strain laying hens but in case of brown strains, Feed intake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housing density and feeding spece/per he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all treatment 8. Feed requirements per egg at white strain was the highest when the 272$\textrm{cm}^2$/per hen levels and at the brown strains was the highest when the 306$\textrm{cm}^2$/per hen levels, however, among the other treatment were no significant.

본 시험은 산란계에 대한 경제적인 케이지 사육밀도를 구명하여 계사 및 케이지의 이용성을 높이고자 실시하였고 백색계로는 ISA Babcock 산란계 600수와 유색계로는 ISA Brown 산란계 450수를 공시계로 하여 수당 사육밀도에 따라 백색계, 6처리, 유색계 5처리 4반복 시험을 1987년 5월 11일부터 1988년 6월 27일(14~72주령)까지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육밀도에 따를 육성기간(14-20주령) 동안의 증체고은 백색곡에서는 사육밀도가 272$\textrm{cm}^2$, 수당 급이기 길이 8m에서 381g으로 가장 적었고, 유색계에서는 사육밀도 306$\textrm{cm}^2$에서 554g으로 가장 적었으나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육계기간(14~20주) 동안에 사육밀도간의 육성율은 백색곡와 유색계 모두 97.63%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고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3. 산란기간(21-72주) 동안의 사육밀도별 성계생존율은 백색계는 453$\textrm{cm}^2$ 구에서만 89.31%로 통계적유의차(P<.05)가 인정되었고, 유색계에서는 306$\textrm{cm}^2$의 고밀도 구에서만 80.94%로 유의차(P<.05)가 인정되었다. .4. 전 산란기간(21-72주령) 동안의 산란율은 백색계에서는 초고밀도인 272$\textrm{cm}^2$/수당 구에서 62.11%로 가장 낮았으며 사육밀도가 증가할수록 산란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색계에서도 고밀도인 306$\textrm{cm}^2$/수당구에서 65.01%로 가장 낮았고 사육밀도가 증가할수록 산란율도 증가하는 순향을 나타내었다. 5. 사육밀도가 평균난중에 미치는 영향은 백색석와 유색계 모두 전 산란기간 동안 처리간의 특별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인정되지 않았다. 6. 1일 산란양은 백색계의 경우 산란말기(63~72주령)에 고밀도 사육구(272~306$\textrm{cm}^2$/수)에서 떨어지는 경향이었고, 유상무에서는 산란 전기간(21~72주령)동안 사육밀도에 따라 산란양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P<.05)이 인정되었다. 7. 산란전기간 동안(21-72주)의 사료섭취양은 백색계에서는 사육밀도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유색계에서는 사육밀도와 수당 급이기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사료섭취양도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의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8. 사료요구율은 백색계에서는 초고밀도(272$\textrm{cm}^2$/수)에서 2.94로 가장 많았으나 다를 처리구 사이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유색계에서도 306$\textrm{cm}^2$/수의 고밀도 구에서 2.87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 사이에서는 일정한 경향치가 없었고 통계적 유의차도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의 케이지 사육 적정 밀도는 백색계의 경우 초고밀도인 272$\textrm{cm}^2$/수를 제외한 수당면적 306~453$\textrm{cm}^2$, 유색계의 경우 수당면적 340~453$\textrm{cm}^2$ 일 때 경제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고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