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Estimation of Growth Pattern Cut-up Parts in Four Broiler Strain in Growing Body Weight

육용계에 있어서 계통간 산육능력 및 체중증가에 따른 각 부위별 증가양상 추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0.09.01

Abstract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method to estimate the edible meat weight in the live broiler chicken. A total of 360 birds, five male and female chicks from each line were sacrificed at Trial 1 (body weight 900-1, 000g), Trial 2 (body weight 1.200-1, 400g), Trial 3(body weight 1, 600-1, 700), and Trial 4(body weight 2, 000g) in order to measure the body weight, edible meat weight of breast, thigh and drumsticks, and various components of body weight. Each line was reared at the Poultry Breeding Farm,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the second of july, 1987 to the thirteenth of September, 1987.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body weights of each line( H. T, M, A) were $2150.5\pm$34.9, $2133.0\pm$26.2, $1960.0\pm$23.1, and $2319.3\pm$27.9, respectively. at 7 weeks of age. The feed to body weight eain ratio for each line chicks was 2.55, 2.13, 2.08, and 2.03, respectively, for 0 to 7 weeks of age. The viability of each line was 99.7. 99.7, 100.0, and 100.0%, respectively, for 0 to 7 weeks of age.01 was noticed that A Line chicks grow significantly heavier than did T, H, M line chic ks from 0 to 7 weeks of age.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growth curves from each line chicks were bA=1.015, bH=0.265, bM=0.950 and bT=0.242, respectively. 2. Among the body weight components, the feather. abdominal fat, breast, and thigh and drumsticks increased in their weight percentage as the birds grew older, while neck. head, giblets and inedible viscera decreased. No difference wat apparent in shank, wings and hack. 3. The weight percentages of breast in edible part for each line thicks were 19.2, 19.0, 19.9 and 19.0% at Trial 4, respectively. The weight percentages of thigh and drumsticks in edible part for each line chicks were 23.1, 23.3, 22.8, and 23.0% at Trial 4. respective1y. 4. The values for the percentage meat yield from breast were 77.2. 78.9 73.5 and 74.8% at Trial 4 in H, T, M and A Line chicks. respectively. For thigh and drumstick, the values of 80.3, 78.4. 79.7 and 80.2% were obtained.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percentage meat yield increase as the birds grow older.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dy weight and blood. head, shanks. breast. thigh-drumstick were high. The degree if correlation between abdominal fat(%) and percentage of edible meat were extremely low at all times, but those between abdominal fat (%) and inedible viscera were significantly high.

본 연구는 육용계육종개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육용계 4계통(H, T, M, A)을 306수 공시하여 성장률 및 체중증가에 따른 체중구성요소들과 산육률의 상대비율(%)을 Trial 1 (생체중:900~l,000g), Trial 2 (생체중 : 1,300~l,500g), Trial 3 (성체중 1,600~1,800g), 그리고 Trial 4 (생체중 :1.8kg 이상) 순서로 추정하였다. 공시된 Broiler는 1987년 7월 2일부터 동년 9월 13일까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가축육종 농장에서 사육되었고, 도체시험을 가하였다. 조사사항 및 방법은 전기한 바와 같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계통(H, T, M, A) 각각에서 7주령 체중과 0~7까지의 사료효율 및 생존율을 살펴보면 H계통은 $2.150\pm$34.9, 2.55 및 99.7%였으며, T계통은 $2.138\pm$26.2, 2.125 및 99.7%, M계통은 $1.960\pm$23.1과 2.084 및 100.0%였고 A계통은 $2.319\pm$27.9와 2.030 및 100.0%였다. 4계통 모두 정상발육을 하였다. 2. 0~7주령까지 2주간격으로 조사한 성장률에 대한 성적을 살펴보면 2주령을 제외한 전주령에서 계통간에 뚜렷한 유의차를 보였다. 성장속도를 표시해 주는 회귀계수값 기울기 b값을 보면, bA=1.015, bH=0.968, bM=0.950, bT=0.942순으로, A계통의 경우 bA=1.015로서 유의적으로 제일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3. 체중구성요소들 체중증가에 따라 각부위들의 체중비율이 증가되는 부위는 다음과 같다. 우모, 복부지방 및 흉부 그러고 퇴경부 등이고, 반면에 감소되고 있는 부위는 방혈중, 두부, 가식내장 및 불가식내장이었고, 체중증가에도 큰 변화가 없는 것을 익부 및 배부이었다. 각 부위별 계통간 유의차를 보이는 것은 우모의 경우 Trial 4에서 계통간 유의차를 보였고, 각부의 경우는 Trial 3에서 계통간 유의차를 보였으며 복부지방량의 경우 Trial 1에 유의차를 보인 뒤 나머지 단계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가식부위들 중 계통간간 유의차가 있는 것은 경부에서(Trial 2) 나타났다. 정육이 가장 많이 퇴경부와 흉부의 중량비율(%)을 살펴보면 Trial 4에서 흉부중양비율(%)은 H, T, M, A계통에서 19.2, 19.0, 19.0, 19.0%였고 퇴경부 경우는 23.0%, 23.3, 22.8 그러고 23.0%로 흉부중량비율(%)보다 퇴경부중양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체중증가에 따른 증가속도는 흉부가 머 빠른 속도로증가했다. 4. 흉부와 퇴경부의 산육률을 보면 폐부의 산육률에 있어서 계통간 유의차는 Trial 2와 Trial 4에서 산육률의 계통간 유의차를 보였다. 증가속도가 제일 빠른 T계통은 흉폐부근육위주로 개량되었다고 판단된다. Trial 4에서 각 계통간(H, T, M, A)에서 각부의 산육률을 보면 각각 77.2%, 78.9%, 73.5%, 74.8%를 나타냈으며, 퇴경부의 경우 계통간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H계통의 경우는 성장속도가 제일 빠르게 나타났다. 반면, 흉부에서 제일 성장속도가 빨랐던 T계통은 퇴경부 산흉율은 bT=0.775로 오히려 감소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퇴경부 산육율을 H, T, M, A계통별로 살펴보면 80.3%, 78.4%. 79.7% 그리고 80.2%였다. 5. 체중구성요소들의 중상비율간의 상관근도는 계통간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구성요소중 체중과 상관정도가 높은 부위들은 방혈양, 두부, 각부, 흉부, 퇴경부등이였다. 복부지방(%)은 어느 계종에서나 주로 불가식내장과 높은 유의상관을 보였으나, 가식부위와의 상관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