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동해 대륙붕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Eastern Coast of Korea

  • Yong Ahn Park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ang Sik Lee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ang Bok Lee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0.12.01

초록

한국 동해 대륙붕 표층 퇴적물은 대부분 육성기원 쇄설성 퇴적물로 이루어져있으며, 이 퇴적물은 홀로세 해수면 변동의 영향을 잘 나타내고 있다. 퇴적물은 연안이나 내대륙붕에서는 이질사 혹은 사닐니로 이루어져 있고 혹은 자갈들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외해로 갈수록 세립화하는 경향을 보여 외대륙붕에는 대부분이 세립의 이질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수심 약 130-150m의 붕단 부근에서는 사질, 니질사, 역니질사 등의 조립 퇴적물이 나타나며 이들은 소위 위스콘신 빙하기의 해수면이 낮았을 때 수심이 얕은 연안환경에서 퇴적된 잔류퇴적물로 생각된다. 연구해역 대륙붕에서의 현생 퇴적물 분포는 파도나 해류 등에 의하여 연안이나 수십이 얕은 곳에는 세립퇴적물이 쌓이지 못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대마해류에서 분리된 동한난류는 남해로부터 동해 대륙붕으로 세립퇴적물을 운반하고 분포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Narrow (10-20 km wide) and steep (0.3-$2.4^{\circ}$) continental shelf off the eastern coast of Korea is covered with terrigenous clastic sediments reflecting the Holocene fluctuation of sea level. Surface sediments on the inner shelf consist of muddy sand and sandy mud with some gravels near the coast. However, sand or muddy sand, shell fragments and well rounded gravels occur near the edge of continental shelf at the depth of about 130-l50m. The coarse sediments near the shelf edge seem to be the relict or palimpsest sediments deposited under the nearshore environment during the low-stand or sea level due to so-called the Wisconsinan glaciation. Distribution of recent sediments near the coast and the inner shelf may reflect the affect of waves and currents precluding the deposition of fine sediment near the coast and on the shallow portion of shelf. Eastern Korean Warm Current also na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the transport and distribution of fine sediments from the sou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