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ing Studies on the Recent Use and Change of Indoor Landscaping Plants at Apartment Houses in Seoul

서울시내 아파트 실내조경식물이용의 최근변화에 관한 조사연구

  • 강훈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
  • 곽병화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
  • 심우경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 Published : 1990.04.01

Abstract

Forty different apartment houses were subjected to assess the status of indoor - landscaping plants found at each apartment house in Seoul for the year of 1986 and 7989. 1. Comparing with those of 1986, 46% increase in total indoor plant species and 68%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m were observed. The most abundant sort found in 1786 was oriental orchid, African violet, Scindapsus, cacti, and Clivia, and in 1989, first with oriental orchid, cacti, Chlorophytum, Clivia and Dracaena, in that order. 2. Foliage ornamental plants were mast popularly found in both years of 1986 and 1989 when considered for horticultural classification of plants. 3. Average plant height ranged between 15 to 30 cm in the year of i986, whereas 31 to 80 cm in 1987, indicaling that the size of plants has greatly increased. 4. Kind of planters or containers was most frequently shown to be made of plastic material in both years, and the porcelain ones have significantly been increased to use recently. 5. Most indoor plants placed at the rooms were on the floor in those years, yet the use of planting shelves became particularly manifesting in the year of 1989. 6. Fittonia and cacti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plant materials for installing terrariums at apartment rooms In the year of 1986, whereas Adiantum and Maranta were so in 1989, indicating that the growers choose much adaptable species in apartment environments. Most of the plants grown to landscaping the indoors was apartment verandas in those years. 8. Average number of indoor plants possessed at each apartment houses surveyed for the year of 1986 was 16 different ones, whereas 27 each In 1789, shoving a noteworthy increase in the number. 9. There have been apparent increase and improvement inhabitant's indoor - plant interest in the years to pass and probably to come.

서울시내 아파트 40가구를 대상으로 1986년과 1989년에 실내조경식물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1. 1986년에 비해서 1989년에는 전제실내식물의 종류는 46%, 식물의 수는 68%가 증가되었으며, 가장 많이 재배되는 종류는 '86년에는 동양란 아프리칸 바이올렛, Scindapsus, 선인장, 군자란 '89년에는 동양란, 선인장, Chlorophytum, 군자란, Dracena순이었다. 2. 원예학적 분류방법에 의한 식물의 종류는 '86년, '89년 모두 관엽식물이 가장 많았다. 3. 초장에 따른 식물의 크기는 '86년에는 15~30cm가 제일 많았고, '89년에는 31~80cm가 가장 많았다. 4. 식재용기의 종류는 '86년과 '89년 모두 플라스틱이 가장 많았으며, 자기 분의 경우 '86년에 비해서 '89년에는 매우 증가되었다. 5.식물의 배치형태는 '86년과 '89년에 조사한 모든 아파트에서 마루에 그대로 놓아둔 floor group이 있었으며, 그 비율도 가장 높았고 선반의 경우 '86년에 비해서 '89년에는 매우 많이 이용되었다. 6. Terrarium의 경우 '86년에는 Fittonia와 선인장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소재였으나, '89년에는 Adianrum과 Maranta가 많이 이용되었다. 7. 식물이 가장 많이 배치되는 장소는 '86년, '89년 모두 베란다로 조사한 모두 가구에서 이용하고 있었다. 8.'86년에는 가구당 평균 16개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89년에는 평균 27개를 보유하고 있었다. 9.식물의 생육형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으며, 실내조경식물의 재배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