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목이용과 채초이용시 나타나는 목초중 칼리 및 마그네슘 함량의 계절변화

Seasonal Variation of Potassium and Magnaesium Contents of Forage Plant Grown in Grazing Pasture and Meadow

  • 발행 : 1990.01.01

초록

초지에 있어서 칼리(K)의 동태 및 반구동물의 마마그네슘(Mg) 출납에 관한 연구의 한 부분으로서, 목초중 칼리 및 마그네슘 함량의 수절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을 봄부터 가을(4월-11월)의 기간동안 방목지와 방목지내 채초이초지(이하 채초지)에서 실시했다. 년간 2회에 걸쳐 가축의 방목을 행한 방목지에서 월별로 시료를 취한 뒤 초종별로 나누지 않고서 전 직물체(목초 및 야초)의 칼리와 마그네슘함량을 조사했으며(시험 1), 채초지에서는 방목지보다 많은 양의 칼리 사료를 사용하여 년간 5회에 걸쳐서 시험구의 실물체를 모두 예취한 후 구성초종별로 나누어서 초종별 우점도 및 칼리와 마그네슘함량을 조사했는데(시험 2), 얻어진결과는 다음과 같다. 1.오차드그라스(Dactylis glomerata L.) 가 우점된 방초지(오차드그라스 방목시)에서의 직물체중 칼리 함량은 봄에 가장 높았으며, 칼리함량의 계절별화(1.5-5.8%)도 돌페스큐(Festuca arundinacea S촉듀.) 방목지에서의 계절변화(3.0-3.8%)보다 뚜렷했다. 2. 오차드그라스 방목지에서의 식물체중마그네슘 함량은 4월-7월에는 건물 1g당 2.0mg보다 낮았으나 그 이후 2.0mg보다 높아졌으며 시험기간중 함량변화의 범위는 1.5-3.1mg이었다. 톨페스큐 방목지에서의 함량의 계절변화는 오차드그라스에서와 비슷하여 봄에 가장 낮고 차츰 높아졌으나 그 범용는 2.0-3.8mg으로 오차드그라스 방목지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시험 1). 3. 오차드그라스 채초시에서는 파종된 목장종인 오차드그라스가 7월까지 우점하였으나 이름 (7월)부터는 야초가 많이 나타나서 가을(10월)에는 바랭이 독 야초(Digitaria adscendens H.) 및 개피(Echi-nochloa crus-galli (L.) B.)가 우점초종으로되었다. 4. 오차드그라스의 칼리함량은 건물량 기준으로 3.9-5.9%이었으며 계절별로는 봄(5월)과 가을(10월)에 높았다. 돌페스큐는 3.8-4.8%, 와이트클로버(Trifolium repen L.)는 3.6-5.0%이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는 2.7-3.5% 이었다. 5. 목초중 마그네슘함량은 계절별로는 봄철에 가장 낮고 여름에 높은 경향이었으며, 초종별로는 화이트 클로버가 건물 1g당 2.9-3.7mg로 높았고 돌페스큐가 2.0-3.3mg 오차드그라스가 1.6-2.8mg이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1.3-1.9mg으로 가장 낮았다. 6. 야초중 칼리함량의 수절변화는 건물량 기준으로 1.7-6.3%의 범위였으며 마그네슘함량의 변화는 건물 1g당 1.6-10.1mg의 범위였다. 바랭이독 야초와 개피중 칼리함량은 가을 (10월, 11월)에 목초보다 낮아 1.7-3.9%의 범위였으나 마그네슘함량은 목초보다 높아 3.2-10.1mg의 범위였다(시험 2)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초의 칼리함량은 생육단계가 낮을 때 놓았으며, 수절별로는 봄과 가을에 높았다. 목초의 마그네슘함량은 봄철에 낮아 이 시기에 무기물의 불균형이나 그라스테타니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졌으며, 시험에 공시된 초종중에서는 높은 칼리함량 또는 낮은 마그네슘함량을 갖고 있는 오차드그라스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돌페슈큐보다 그 발생 기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한편 초지에서 가을에 목초보다 우점도가 높은 바랭이독 야초 및 개피는 칼리함량이 낮고 마그네슘함량이 높았으므로, 그 시기에 발생되는 무기물 불균형을 야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As a part of studies on potassium(K) behavior in grassland with respect to magnesium(Mg) balance of ruminants, seasonal variation of K and Mg contents of forages including native gasses grown in grazing pasture and meadow were investigated. During an experimental period from April to October of 1984, two times of grazings were carried out in the orchardgrass (Dacfylis glomerata L.) and the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dominant grazing pastures, and forage plants (forages and native grasses) were sampled monthly and also K and Mg contents were determined without separating into individual plant species (Experiment 1). All the plant species grown in the two meadows which situated in the grazing pastures were harvested five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separated into individual plant species, and botanical composition (SDR, ) and K and Mg contents of the plant species were determined (Experiment 2).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the orchardgrass grazing pasture K contents of the forage plants were the highest in spring,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contents in the orchardgrass pasture (1.5-5.8 % in a dry matter basis)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forage plants in the tall fescue grazing pasture (3.0- 3.8 %). 2. The Mg contents of forage plants in the orchardgrass grazing pasture ranged under 2.0 mg/g DW from Arpil until July, and the contents in the orchardgrass pasture (1.5-3.1 mg/g DW) was in the lower range than that of forage plants in the tall fescue pasture (2.0-3.8 mg/g DW). (Experiment I). 3. Orchardgrass wa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orchardgrass meadow until July, but several species of native grasses were observed from summer (July) and native grasses such as Digitaria adscendens and Echinochlw crus-galli became dominant in autumn (October). 4. Seasonal variation of K contents of orchardgrass was in the range of 3.9-5.9 %, and the contents was higher in spring (May) and in autumn (October). The variation o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was in the range of 3.6-5.0 %, that of tall fescue 3.8-4.8 %, and that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2.7-3.5 %, respectively. 5 . Seasonal variation of Mg content of white clover was in the range of 2.9-3.7 mg, that of tall fescue 2.0- 3.3 mg, and that of orchardgrass 1.6-2.8 mg/g DW,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the contents of Italian ryegrass was in the range of 1.3-1.9 mg/g DW. And Mg contents of the forage plants were higher in summer(July) 6. In autumn (October and November ) native grasses such as D. adscendens and E. crus-galli contained lower K contents (1.7-3.9 %), but higher Mg contents (3.2-10.1 mg/g DW) than the forages contained. (Experiment 2) From the results above, it is known that K contents ranged higher in younger forages in viewpoint of growth stage and higher in spring and autumn, and that Mg contents ranged lower in spring. Therefore, the mineral imbalance or hypomagnesaemic (grass) tetany can be triggered in spring or autumn, and more frequently by such plant species as orchardgrass and Italian ryegrass with lower Mg and/or higher K contents than by tall fescue.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dominant native grasses in autumn such as D. adscendens and E. emsgalli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the tetany with higher Mg and lower K cont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