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 핵을 이용한 Trichoderma koningii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 of Trichoderma koningii Using Isolated Nuclei

  • 민경림 (태평양화화 생명공학연구소) ;
  • 박희문 (충남대학교 미생물학과) ;
  • 하영칠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
  • 정재훈 (과학원 생물공학과)
  • 발행 : 1990.12.01

초록

Trichocderma koningii의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인 CUT 121로부터 얻은 원형질체를 야생형인 ATCC 26113의 핵과 혼합하여 PEG 용액을 처리한 결과, 독립 영양형의 형질전환체가 30 이상의 빈도로 생성되었다. 이 독립영양형 군체로부터 얻은 분리체 중의 하나는 xylanase의 활성이 야생형보다 3배 가량 증진되었으며, 다른 세포의 다당류 분해효소는 야생형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분리체의 DNA 함량, 인위적인 불리양상 및 동위효소 양상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 독립영양형의 형질전환체는 실험에 사용된 형질전환체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Trichoderma속 균류의 균주개량법으로, 핵전이법이 통상의 원형질체 융합법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When protoplasts from auxotrophie mutant of Trkhoderma koningii CUT121(Lys-, Met-) were mixed with isolated nuclei of wild type T. koningii ATCC 261 13 and treated with PEG solution, protrophic colonies were produced with frequency of more than 30 percent. One of segregants from prototrophic colonies showed increased xylanase activity and other polysaccharide-hydrolyzing activities comparable to those of wild type strain. Through measurement of DNA contents, induced segregation, and analysis of isozyme patterns, it was revealed that the prototrophic colonies were transformants resulted from exchange of genetic materials between the two kinds of nuclei u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clei transfer technique is more efficient than conventional protoplast fusion technique for strain improvement of Trichoderma spec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