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of Heavy Metals in Soils of the Kum-Ho River Basin

금호강류성 하상토양중 중금속함량

  • 문효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교) ;
  • 장봉기 (경북대학교 보건대학교) ;
  • 김두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교)
  • Published : 1990.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soils of the Kumho river basin, by analyzing soil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edge of the river and to the soil layer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soils showed highly in its downstream. Namely there was shown a remarkably high contents of these heavy metals in the Kum-ho bridge areas where Kongdan stream joins Dalseo stream, such as 39.52ppm for zinc, 35.92ppm for copper, 97.90ppm for iron, 102.45ppm for manganese, 13.92ppm for lead, respectively, and 0.48ppm for cadmium. However, the heavy metals contents in soils around Kangchang bridge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in its contents, probably because its main soils consisting of sand. Based on their soil layers, the average contents of these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oils were higher than one of the subsurface soil. Its content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river edge indicated some difference every individual area. Nevertheless, its contents showed lower contents in the area far away from the edge. And its contents tended to again increase in the outside bank. In addition, a remarkable positive correlation is shorten between individual heavy metals, except correlation between iron and lead. Also cadmium just shows reverses correlation in the statistics. With respect to comparison between soil layers, there was a remarkabl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rface layers and subsurface layer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seems that the pollution of river bed's soil is in proportion to it of stream.

금호강 유역의 토양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강심으로 부터의 거리별, 표층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중 중금속의 함량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공단천과 달서천의 합류후 지점에서 아연 39.52ppm, 구리 35.92ppm, 철 97.90ppm, 망간 102.42ppm, 납 13.93ppm, 카드뮴 0.48ppm으로 현저히 높은 축적치를 보였다. 강창부근은 토양의 성상이 사질토로 중금속 함량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토층별로 비교해 볼 때 심층보다 각 중금속의 평균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강심으로부터의 거리별 중금속 함량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나 강의 가장자리에서 멀어질 수록 대체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 뚝 밖의 지점에서는 다시 높았다. 토양중 각 중금속간의 상관관계는 철과 납간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가 유의한 정산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각 중금속과 토양 pH간에는 카드뮴만이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토층별로 볼 때 각 중금속에 대한 표층간, 심층간에는 유의한 정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하상 토양의 오염은 하천수 오염과 비례한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