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hylactic and therapeutic studies on intestinal giant-cystic disease of the Israel carp caused by yhelohunellus kitauei I. Course of formation and vanishment of the cyst

향어의 장포자충(Thelohanellus kitauei)증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기초적 연구 I . 종유의 소장 과정

  • 이재구 (전북대학교 수의기생충학교실) ;
  • 김종오 (전북대학교 수의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0.09.01

Abstract

In an attempt to develop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measures of the intestinal giant-cystic disease caused by Thelohanellus kitauei in the Israel carp, Cyprinus carpio nodus, pathological observations were conducted upon the carps which were hatched in May 1988 and raised in a net cage fish farm at the Soyang lake, managed by Horim Fisheries for the period of 21 months with 1~2 months interval. After a gross inspection of the carps, necropsy was carried out periodically in order to clarify the pathological changes in various internal organs and muscular tissues. Also. the prevalence of the disease was checked during the period from 1988 to 1990. Gross inspections revealed that the infected carps showed some degree of fading in body and gill color, back-emaciation symptoms, reddish anus accompanying erosion and relaxation and pot-belly, as well as discharge of yellowish white mucoid material from the anus. However, most carps died eventually of intestinal obstruction. Other significant necropsy fadings included cyst formation of various size in the intestinal mucosa, ascites, anemic condition through internal organs and muscular tissues, hyperemia and dilation of intestines with decreased tension, thinness and fragility, and full contents of semi-fluid or yellowish white mucoid material in the intestinal canal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ores found in the cysts, parasitic location in the intestines, macro- and microscopic findings of the lesions, the parasites were identised as Thelohanellus kitauei Egusa os Nakajima, 1981. Although monthly changes of water temperature were distinct, the extrusion rates of the polar filaments of the spores stayed constant throughout the year with an exception of a lower rate in July, The lesions initiated from mucosa and submucosa in early July became large swellings and then complete mature (orms following the peracute course. From late August the upper cysts were gradually opened and most of the spores were dispersed from anus into the surrounding water through December but only a few lasted until next April. The cysts were completely recovered until next September. Comparing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the disease by year tremendous infection and death rates were checked in the first prevalent year, 1988, but the ra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econd year, and showed an almost normal status in the third year, 1990. As the above summarized results showed, the disease entity might come to an end in three years after the first prevalent year, however, the spores must be strictly prevented because they could be infective in the water for one year.

향어에 발생하는 장포자충증의 예방 및 치료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의 일환으 로 소양댐의 호림수산 가두리 양식장에서 1988년 5월에 부화시켜 사육하고 있는 향어를 1∼2개월 간격으로 1련 9개원간에 걸쳐 외부 소견과 부검 후 내장 및 근육 등의 변화 상태를 조사하고, 종류 (cyst)내의 포자를 동정한 다음 극사 탈출률을 조사하고, 종류의 육안적 및 조직학적 소견을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한핀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연도별 발생 상황도 조사하였다. 감염어는 체색과 아가미색이 엷어지며, 소위 등여쉽 증상이 나타나며, 항문은 발적, 미란, 이완상태이며, 복부가 괭만되었다. 항문으로부터 황백색 점액 또는 유백색 액체가 유출되며, 종류에 의하 여 장관이 폐쇄되므로 결국 제사하였다. 부검 소견으로서 장관 점막에 크고 작은 종류 형성, 복수 저류, 내장 및 근육의 빈혈상태, 장관의 화장과 충혈, 탄력소실, 비박 및 기괴용역, 장관내 반투명 액체-황백색 점액의 충만 등이 인정되었다. 종류 내에서 검출된 포자는 형태학적 특징, 기생 부위, 육안적 멎 병리학적 소견 등으로 미루어 보아 Thelohanellus kitnuei Egusa et Nakajima, 1981 라고 동정하였다. 그리고, 종류내 포자의 극사 탈출률은 수온의 변화가 심하였는데 도 불구하고 7월 에 일시적으로 다소 저하한 것을 제외하고는 계절에 따라 거의 변동하지 않았다. 7월 상순에 장점막 하에 형성된 병소는 심급성으로 진전하여 대형 종유가 형성되었는데 8월 상순 에 완전히 성숙한 다음 8월 하순부터 선단이 파열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12월까지는 종류로부 터 다수의 포자가, 다음해 4월까지는 소수의 포자가 항문으로부터 유출되어 물속으로 나오게 되며, 다음 해 9f3까지는 완전치유되었다. 연도별 발대상류은 초년도인 1988연에는 폭발적으로 발생하여 대부분 폐 사하였는데 다음해인 1989연도에는 그 피해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3년째인 1990연도에는 피해가 전혀 없었다. 이상의 조사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최초 질병 발생 후 3년에는 질병이 종식되는 것 같으며 거의 연중 물속으로 포자가 유출되므로 향어의 감염원 역할을 한다는 것이 명확하므로 장포자충 감염 의 예방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