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선량률 강내조사를 사용한 자궁경부암의 치료

Treatment of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ith High-Dose-Rate Intracavitary Irradiation using Ralstron

  • 서창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 방사선과학교실) ;
  • 김귀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 방사선과학교실) ;
  • 노준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 방사선과학교실)
  • Suh Chang 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Gwi E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oh John J.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0.12.01

초록

1979년 5월부터 1981년 12월까지 총 524명의 자궁경부암 환자가 근치적 목적하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524명의 환자중, 356명이 코발트 선원을 사용한 원격 조정 아프터로딩 고선량률 강내조사 시스템 (Ralstron)으로써 치료받았으며 168명의 환자는 라듐 선원을 사용한 저선량률 강내 조사를 받았다. 외부조사는 골반부 전체에 총 40-50 Gy가 주어졌으며, 이어서 A지점에 10-13번에 걸쳐 30-39 Gy의 강내 조사를 시행하는 치료지침이 사용되었다. 강내조사는 3 Gy씩, 일주일에 세번 주어졌다. 고선량률 강내조사를 받은 군에서의 5년 실제생존률은 IB기 (N=20)가 $77.6{\%}$, II기 (N=182)가 $68.2{\%}$ 그리고 III기 (N=148)가 $50.9{\%}$였다. 저산량률 강내조사군에서의 5년 생존률은 IB기 (N=22)가 $87.5{\%}$, II기 (N=91)가 $66.3{\%}$, 그리고 III기 (N=52)가 $55.4{\%}$였다. 생존률은 병기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두 강내조사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치료후 내장의 후기 합병증은 고선량률 강내조사 군에서 $3.7{\%}$, 저산량률 강내조사군은 $8.4{\%}$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만큼 심한 합병증은 없었다. 방광에서 발생한 합병증의 빈도는 고선량률 강내조사군이 $1.4{\%}$, 저선량률 강내조사군은 $2.4{\%}$였다.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시술은 외래 환자에 시행하기에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쉬우며 마취가 필요없고, 환자가 매우 잘 견딘다. 담당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도 저선량률 강내조사에 비해 사실상 거의 없다.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경우 치료시간이 짧기 때문에 주어진 시간내에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환자를 치료해야 되는 암센터의 경우, 고선량률 강내조사 시스템이 훨씬 더 권장되어 진다. 그러나 더욱 향상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다른 치료 방식으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적절한 선량-분할조사 계획과 외부조사와 강내조사의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rom May 1979 through December 1981 a total of 524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ere treated by radiation therapy with curative intent. Among the 524 patients, 350 were treated with a high-dose-rate (HDR), remote-controlled, afterloading intracavitary irradiation (ICR) system using a cobalt source (Ralstron), and 168 patients received a low-dose-rate (LDR) ICR using a radium source. External beam irradiation with a total dose of 40-50 Gy to the whole pelvis followed by intracavitary irradiation with a total dose of 30-39 Gy in 10-13 fractions to point A was the treatment protocol. ICR was given three times a week with a dose of 3 Gy per fraction. Five-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in the HDR-ICR group were $77.6{\%}$ in stage IB (N=20), $68.2{\%}$ in stage II (N=182), and $50.9{\%}$ in stage III (N=148). In LDR-ICR group, 5-year survival rates were $87.5{\%}$ in stage IB (N=22), $66.3{\%}$ in stage II (N=91), and $55.4{\%}$ in stage III (N=52). Survival rat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t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CR groups. Late bowel complications after radiotherapy were noted in $3.7{\%}$ of the HDR-ICR group and $8.4{\%}$ of the LDR-ICR group. There was no severe complication requiring surgical management. The incidence of bladder complications was $1.4{\%}$ in the HDR-ICR group and $2.4{\%}$ in the LDR-ICR group. The application of HDR-ICR was technically simple and easily performed on an outpatient basis without anesthesia, and the patients tolerated it very well. Radiation exposure to personnel was virtually nil in contrast to that of LDR-ICR.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more patients can be treated with HDR-ICR because of the short treatment time. Therefore, the HDR-ICR system is highly recommended for a cancer center, particularly one with a large number of patients to be treated. In order to achieve an improved outcome, however, the optimum dose-fractionation schedule of HDR-ICR and optimum combination of intracavitary irradiation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an extensive protoco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