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rge Cell Carcinoma of the Lung - An analysis of clinical features and survival

대세포 폐암의 임상적 양상과 생존률에 대한 분석

  • Yang Jin Yeo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
  • Lee Hyung Si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on Sun Roc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Gwi E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Chang 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oh Jojn J.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Oh Won Yo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
  • Whang In So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 양진영 (국립의료원 치료방사선과) ;
  • 이형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문성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김귀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서창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노준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오원용 (국립의료원 치료방사선과) ;
  • 황인순 (국립의료원 치료방사선과)
  • Published : 1990.12.01

Abstract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33 patients with large cell lung carcinoma treated at Yonsei University Cancer Center between Jan.1985 and Dec.1989. Of the thirty-three patients, twenty eight were men and five women. Median age was 59 years.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pathologic type, $78.8\%$. Twenty one of thirty three patients had far advanced diseases, stage IIIB-IV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Pleural effusion was initially presented in 12 patients, and SVC syndrome appeared in 5 patients. As to location of the primary tumor,19($57.6\%$) appeared in the right lung and 14 ($42.4\%$) in the left. Patients with a centrally located primary tumor mass were nearly the same as those peripherally located (17 vs.16). Fifteen of thirty three patients developed metastasis involving not only bone, brain, the opposite lung, adrenal gland but also soft tissue, skin, pancreas and appendix. Treatment was individualized with 19 treated radically and 14 palliatively. After treatment, only two patients showed a complete response. Long term survival was observed in 4 patients: 1 (24 mo.),2 (41 mo.) and 1 (54 mo.). The overall 2 year survival rate was $14.3\%$ while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6.0 month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 observed that pleural effusion-absent group and complete response group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better survival rate (p<0.01).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 및 연세암센터에서 치료받은 33명의 대세포 폐암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중 28명 이 남자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대세포 미분화폐암이 가장 많았으며 종양의 위치는 우측 폐에 19명, 좌측 폐에 14명에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대세포 폐암은 상당수가 폐의 주변부에 종양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주변부 만큼 많이 관찰되었다($51.5\%$$48.5\%$). 33명의 환자중 21명이 IIIB기 이상의 상당히 진행된 병변을 갖고 진단되어 졌다. 총 15명의 환자에서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는데 이중 11명이 진단당시부터 원격전이를 갖고 있었고 나머지 4명은 치료 도중이나 치료 후 발견된 경우였다. 원격전이 부위는 다양하였는데, 연부조직, 피부, 췌장 및 충수돌기등 다른 폐암에서는 흔치 않는 부위에서의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치료는 개인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초기에 진행된 병변을 가진 환자가 많았으므로 19명 만이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받았으며 나머지 14명은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받았는데 치료후 2명의 환자에서 완전 관해를 얻었다. 4명의 환자가 24개월에서 54개월까지 장기 생존하였으며 2년 생존율은 $14.3\%$였고 중앙생존 기간은 6개월 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해 본 결과 늑막 유출액이 없었던 환자군과 치료후 완전 관해를 보였던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좋았다 (p<0.01).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던바($25\%$) (p<0.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를 원발부위,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따라 분석해본 결과, 특히 T-병기중 T3, 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p<0.0005), T1, 2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 되지 않았다(0.3, 수술이 필요하였던 환자는 $1\%$로 합병증의 증가 없이 A점에 8900cGy, 직장에 7300cGy정도의 국소치료가 가능함을 보여 주었으나 생존율에 대한 추후 분석이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보면 6,000rad이하에서 20/63$(34.9\%)$의 실패율에 비하여 6,000rad이상일 때는 10/49$(20.4\%)$의 실패율이었다. 연령 벨로는 $40\~49$세에서 실패율(14/41 $24.1\%$)이 많았다. 본 성적으로 보아서 생존율은 여러 저자들과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A점 선량은 8,000rad 이상, B점은 6,000rad이상이 조사되어야 적정선량이 됨을 시사해 주고 있다.\%$가 대부분이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