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2NO 병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예후인자 분석

The Heterogeneity of T2NO Glottic Carcinoma Treated by Irradiation

  • 이형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문성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안기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정은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서창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김귀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노준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Lee Hyung Si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on Sun Roc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Ki Ju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Eun Ji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Chang 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Gwi E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oh John J 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0.12.01

초록

1978년 1월부터 1987년 12월 사이에 연세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44예의 T2NOMO 병기의 성문암 환자중 후향적 분석이 가능하였던 42예의 환자의 최소 추적기간은 3년 이었으며, 5년 추적조사 기간은 $81\%$에서 가능하였다. 전체 환자(42예)의 5년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63.1\%$$53.3\%$이었다. 5년 무병 생존율을 기초로한 성문의 운동성 장애와 성문암의 국소 침윤정도에 따른 예후인자의 분석에 있어서 성문의 운동성이 정상이고 성문 하부로의 침윤이 존재하지 않은 14예의 환자의 5년 무병생존율은 $83.1\%$로 방사선 치료만으로도 성문의 운동성 장애가 있거나 성문 하부 침윤이 있었던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치료 성적을 나타내어 T2NOMO 병기 내에도 방사선 치료에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아군 (subgroup) 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치료 실패 양상, 선량-반응 관계, 치료 실패환자의 수술요법 등에 관한 분석을 하여 향후 치료의 지침으로 삼고자하였다.

During a ten-year period from 1978 through 1987, 44 patients with T2NOMO glottic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cal radiation therapy at the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orty-two patients had a minimum follow-up of 3 years, and $81\%$ had at least five years of follow-up. Patients were staged according to the AJCC system. Forty-two patients have been analyz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wo variables: the status of vocal cord mobility and the degree of local extension of the disease. Five-year local recurrence free survival rates were as follows: All 42 patients, $53.3\%$ patients with normal vocal cord mobility (n =18), $69.1\%$ versus patients with impaired vocal cord mobility (n=24), $43.4\%$(p<0.05); patients with subglottic extension (n=15), $36.7$ versus patients without subglottic extension (n=29), $61.9\%$ (p<0.05). The most favorable Prognostic group included the patients with normal mobility without subglottic extension (n=14), $83.1\%$.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confirmed the presence of heterogeneity in T2NOMO glottic cancer This study indicates that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warranted to evaluat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