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gment production in Monascus anka

Monascus anka의 균주선발 및 색소생성 조건

  • Kim, Soo-U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Gu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수언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정구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90.09.30

Abstract

Monascus anka strains with higher pigment production were developed using UV mutation and natural selection. To obtain organic solvent soluble pigments from Monascus anka, the following culture conditions were compared : standing and shaking culture with Nishikawa's medium, and shaking culture with Lin's medium. Shaking culture in Lin's medium exhibited decrease in solvent-soluble intracellular pigments after initial increase. The decrease was accompanied by the increase in water-soluble extracellular pigments. Monascus anka preferred sucrose and ethanol among 7 carbon sources tested. Treatment of 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pm})$-miconazole and chlorocholine chloride(CCC) , directed carbon pool to the biosynthetic pathway leading to the pigments with CCC's more pronounced effect. Two dimensional TLC revealed at least 7 yellow pigments suggesting existence of hereto unreported pigment. One of the most abundant yellow pigments was isolated and found to be ankaflavin by NMR and MS analysis.

유기 용매에 추출되는 유리형의 홍국 색소를 보다 많이 얻기 위하여 Monascus anka의 균주를 자연 및 자외선 변이균주에서 선발하고 배양 조건을 탐색하였다. 균주 N3를 Lin's medium에서 진탕 배양, Nishikawa's medium에서 정치 배양 및 진탕 배양하여 균체성장과 색소생성에 소요되는 시간, 유기용매에 추출되는 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보았다. Lin's medium에서의 액침 배양에서는 수용성 색소가 우세하게 생성되는 반면 Nishikawa's medium에서의 정치 배양에서는 보다 많은 유기용매 가용성의 색소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탄소원으로는 자당외에 에탄올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Sterol 합성저해제를 처리하였을 때는 상당한 색소 형성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이차원 TLC로써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색소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균주의 색소중 가장 다량으로 존재하는 황색소의 하나를 분리하였고 분광학적 방법으로 ankaflavin으로 동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