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Soy Protein

우유와 대두단백질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 Kim, Hae-Joung (Department of Foods & Nutri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
  • Ko, Young-Tae (Department of Foods & Nutri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 김혜정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고영태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0.11.01

Abstract

The curd yogurt was prepared from milk or milk added with skim milk powder or soy proteins.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 milk containing additive of 2% was investigated and quality of curd yogurt(sensory property and keeping quality) was examined. Some organic acids in curd yogurt were analyzed by HPLC. The soy proteins, particularly defatted soy flour or soy flour, stimulated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more than skim milk powder. Among the four organisms tested,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produced more acid than L. casei and L. delbrueckii.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in curd yogurt showed that the amount of lactic acid and acetic acid markedly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by L. bulgaricus for 24 hours while the amount of citric acid markedly decreased. The major organic acid pro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was lactic acid. Addition of soy proteins to milk reduced sensory property of curd yogurt. Among the soy proteins tested, soy protein concentrate or soy protein isolate added sample showed better sensory acceptability than other samples. When curd yogurt was kept at $5^{\circ}C$ for two weeks, titratable acidity, pH and number of viable cells of curd yogurt were not changed.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대두단백질을 2% 첨가하여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만들고,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과 비교하여 대두단백질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커드상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커드상 요구르트의 몇 가지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탈지분유를 첨가한 경우보다 촉진되었는데,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의 촉진효과가 현저하였다. 접종된 4종의 젖산균 (Lactobacillus 3종, Leuconostoc 1종) 중에서는 Leuc. mesenteroides와 L. bulgaricus의 산생성도가 높았다.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에서는 우유나 2% 대두분을 첨가한 우유에 L. bulgaricus를 접종하여 24시간 발효하는 동안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어 그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우유 중에 들어있는 citr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이용되어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된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표준시료에 비하여 대두단백질 첨가 시료의 관능성은 저조하였으며, 대두단백질 중에서는 농축대두단백이나 분리대두단백 첨가 시료가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 첨가 시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2주일간 $5^{\circ}C$ 냉장고에 저장하는 동안 산생성과 pH, 생균수에 거의 차이가 없어 저장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