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sodilating Mechanism of Dibutyryl-cAMP and Forskolin in Rabbit Aorta

Dibutyryl-cyclic AMP와 Forskolin의 혈관평활근 이완작용

  • Ahn, Hee-Yul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im, Jung-Kyoo (Department of Pharma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안희열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임정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Published : 1990.12.30

Abstract

Dibutyryl-cyclic AMP (db-cAMP) and forskolin were used to investigate vasodilating mechanism of cAMP in rabbit aorta. Db-cAMP and forskolin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contractile tension induced by norepinephrine (NE) concentration-dependently. However, high $K{^+}-induced$ contractile tension was inhibited less effectively by db-cAMP and forskolin. Db-cAMP and forskolin inhibited $^{45}Ca^{2+}$ uptake increased by NE. Forskolin seemed to inhibit $^{45}Ca^{2+}$ uptake increased by high $K{^+}$, but this inhibi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Db-cAMP inhibited $Ca^{2+}-transient$ contraction by NE in $Ca^{2+}-free$ solution. In conclusion, it seems that cAMP blocks $Ca^{2+}$ influx through receptor operated $Ca^{2+}$ channels (ROCs), but that the effect of cAMP on $Ca^{2+}$ influx through voltage gated $Ca^{2+}$ channels (VGCs) is not clear in this experiment. Furthermore, cAMP is likely to inhibit calcium release from the intracellular stores.

세포막을 투과하는 cyclic AMP의 유도체인 Dibutyryl-cyclic AMP(db-cAMP)와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내에 CAMP를 증가시키는 Forskolin을 이용하여 토끼 대동맥평활근 이완작용의 기전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b-cAMP는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지속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고농도의 K에 의한 수축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2. Forskolin은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지속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고통도의 K에 의한 수축보다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3. Db-cAMP는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45}Ca$ 유입증가를 억제하였다. 4. Forskolin은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45}Ca$ 유입증가를 억제하였으며, 고농도의 K에 의한 $^{45}Ca$ 유입증가도 억제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5. Db-cAMP는 칼슘이온 제거용액에서 $l{\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일과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cAMP는 수용체작동성 칼슘채널(ROCs)을 통한 칼슘이온의 유입을 억제함으로써 norepinephrine에 의한 수축을 억제하며, 고농도의 K수축 억제가 전위의존성칼슘채널(VGCs)을 통한 칼슘이온의 유입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또한 cAMP는 norepinephrine에 의한 세포내 칼슘이온의 유리에 의한 일과성 수축도 억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