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Echinochloa Species Collected in Korea by Method of Seed Morphology and Their Response to Annual Herbicides

종자(種子)의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에 의한 피의 분류(分類)와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

  • Kim, K.U. (Dept. of Agronomy, Coll. of Agr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H. (Dept. of Agronomy, Coll. of Agr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I.J. (Dept. of Agronomy, Coll. of Agr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길웅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 김진협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 이인중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Published : 1989.06.30

Abstract

Echinochloa species collected from 13 places of Korea appeared to be morphologically very different. They were classified by Yabuno's seed morphology method into two species such as Echinochloa oryzicola and Echinochloa crus-galli which have two varieties such E. crus-galli var, cuss-galli and var, praticola. Among them, E. oryzicola was morphologically similar to Oryza sativa, but it had small leaf length with straight from, no awn, late heading and little interspecific variance. As compared with E. oryzicola, E. eras-galli var. crus-galli, and var, praticola showed a great variance exerting so difficulty in classifing them morphologically, particularly a great variance in leaf length, tiller number and grain size. E. oryzicola species showed the more sensitive response to butachor and thiobencarb herbicides than E. eras-galli var. praticola and var. eras-galli. However, E. eras-galli var. praticola was themore sensitive one to pretilachloa herbicide than such as E. oryzicola and E. eras-galli var. eras-galli, indicating that Echinochloa species might have a selective response to the annual herbicides tested.

전국(全國)의 각(各)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피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는 매우 큰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Yabuno가 제시(提示)한 종자(種子)의 포영 길이와 생육습성(生育習性)에 따라 분류(分類)하면 E.oryzicola 와 E.crus-galli var. crus-galli, 및 var. praticola 로 대별(大別)할 수 있었다. E. oryzicol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벼와 유사(類似)하여 초장(草長)이 비교적 작고 직립형(直立型)으로 까락이 없으며 출수기(出穗期)가 대체로 늦은 편이었고 종내변이(種內變異)가 적었다. 그러나 E. crus-galli var. crus-galli 와 var. praticol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다양(多樣)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어서 외부형태(外部形態)만으로 분류(分類)가 어려웠다. E. crus-galli var. crus-galli의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수수장(穗穗長) 등(等)의 변이폭(燮異幅)이 매우 컸고 E. crus-galli var. praticola 도 비슷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에 분포(分布)하는 피는 외형(外形)의 차이(差異)가 다양(多樣)함에도 불구하고 3정내외(種內外)로 분류(分類)되고 있으며 금후 세포학적(細胞學的)또는 생화학적(生化學的) 관찰(觀察)을 통(通)해 확정(確定)될 수 있을 것이다. 피 3종(種)의 제초제(除草劑)에 대(對)한 반응(反應)은 종내(種內)또는 종간(種間)에서 공(共)히 조사(調査)되었으며 상대적(相對的)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의 차이(差異)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