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ass of Primary Producer in the Ch$\check{o}$nsu Bay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arbon, Cell Number and chlorophyll-

천수만 일차생산자의 생물량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개체수 및 클로로필과의 관계-

  • Received : 1989.12.09
  • Accepted : 1990.01.30
  • Published : 1989.12.01

Abstract

In order to study the biomass of primary producer, phytoplankton is collected monthly September 1985 to August 1986 in Ch$\check{o}$nsu Bay. Phytoplankton carbon contents which are calculated from phytoplankton volume were ranged from $26.7{\mu}gC/l$ to $960.7{\mu}gC/l$, and average carbon contents of each month lie in the range of $58.6-684.7{\mu}gC/l$(annual mean $208.5{\mu}gC/l$). For net plankton analysis with the carbon contents, cell numbers,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s show a close correlation, while for nanoplankton the correlation was low, indicating that nano-fraction includes a significant portion of picoplankton. Als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carbon content, cell number,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 to size fraction well illustrate the prime importance of the net-fraction in phytoplankton group. C/Chl-a ratios ranged from 9.1 to 100.5, average rations of net- and nanoplankton are 111 and 6.4, respectively. The greater net plankton faction is, the higher C/Chl-a ratio is, however in case of high nanoplankton portion C/Chl-a ratio show low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of C/Chl-a ratio per phytoplankton cell size be main factor for the variation of C/Chl-a ratio in Ch$\check{o}$nsu Bay. As C/Chl-a ratio fluctuates greatly in coastal ecosystem, that use of a direct conversion of convert chlorophyll to organic carbon may lead erronous estimation.

일차생산자의 생물량을 연구하기 위해 천수만에서 1985년 9월부터 1986년 8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식물플랑크톤의 체적으로부터 계산한 식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은 $26.7-960.7{\mu}gC/l$의 분포를 보이며 월 평균 탄소량은 $58.6-684.7{\mu}gC/l$(연 평균 $208.5{\mu}gC/l$) 범위의 변화를 보인다.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 개체수 및 클로로필 농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 결과, net plankton(> $20{\mu}m$)에서는 탄소량, 개체수 및 클로로필 상호간의 상관 관계가 밀접하게 나타나 이들 상호 관계가 주로 net plankton에 의해 좌우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nanoplankton(< $20{\mu}m$)의 경우, 상관 관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nano-fraction이 제거하지 않은 picoplankton(< $2{\mu}m$)을 상당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중회귀 분석 결과 또한 식물플랑크톤 탄소량, 개체수 및 클로로필 상관 관계가 주로 net plankton에 의해 좌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C/Chl-a 비율은 9.1-100.5의 범위로 변화폭이 큰데 net plankton의 C/Chl-a 평균 비율은 111, nanoplankton의 비율은 6.4로 나타났다. Net plankton의 비율은 높은 시기에는 C/Chl-a값이 높은 반면 nanoplankton비율이 높은 시기에는 기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C/Chl-a 비율을 변화시키는 주요인은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C/Chl-a값의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클로로필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탄소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연안생태계에서 적절치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