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협에서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의 음파 산란신호에 의한 동물플랑크톤 분포의 추정

Acoustical Estimation of Zooplankton Distributions From the Backscattered Signal of the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in the Korea Strait

  • 나정열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 박정수 (한양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Na, Jung Yul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Park, Joung Soo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투고 : 1989.10.10
  • 심사 : 1989.12.27
  • 발행 : 1989.12.01

초록

1987년 9월 한국해협에서 수집한 ADCP의 음파산란 신호를 이용하여 음향적으로 동물플랑크톤의 수직적인 분포를 추정하였다. ADCP의 음파산란 자료는 8m 두께의 해수내에 존재하는 산란체에 의한 음파산란 신호로써 이를 근거로 계산한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는 계절 수온약층이 존재하는 수심 40m 부근을 경계로 하여 하층보다 상층에서 많은 양이 나타남을 보이고 있다. 한편 한국해협 저층의 냉수층에서도 상당량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있다. 표층의 개체수 분포는 부산연안에서 많은 양을 보이다가 한국해협 중앙부까지는 거의 일정하며 다시 대마도 부근으로 갈수록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분포양상은 기존의 방법에 의한 분포와 잘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분포 파악을 위해 ADCP를 이용한 음향학적인 접근방법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coustical estimation of vertical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backscattered signals of ADCP which was deployed in the Korea Strait in September, 1978. the backscattered signals of ADCP represents the total backward sound intensity caused by the scatters existing within the insonified water column of 8m deep. Based on these backscattered intensities, the estimated number of individual zooplankton (namely, Copepods) varies with depth such that in the surface layer above the thermocline, the numbers are exceedingly larger than the lower layer. It is also shown that a relatively larger number of individuals exists in the bottom cold water layer in the centeral part of the Strait.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 zooplankton in the surface layer across the west channel of the Strait shows that the number is higher in the coastal zone of the Korea and it decreases toward the central and then remains constant up to the vicinity of the Tsushima Island where it increases again. This type of distributions is well fitted to the one obtained at several stations by the conventional method at least in qualitative way. Therefore, it is quite plausible to use the ADCP data for monitoring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