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계 한국 동해 남부해역에서의 식물 수문학적 수역과 질산염약층의 수직양상

Phytohydrography and the Vertical Pattern of Nitracline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Korean East Sea in Early Spring

  • Shim, Jae Hyu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ang, Sung Ryull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 Lee, Won Ho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89.02.01
  • 심사 : 1989.04.04
  • 발행 : 1989.03.01

초록

한국 동해 남부해역에서 봄철의 정량적 식물플랑크톤 시료, 수온, 염분, 용존산소 및 영양소의 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문학적 조건과의 밀접한 상관관계로 보아 연구해역이 3개의 식물 수분학적 해역, 즉 1) 한국동부 난수해역(대마해류의 지류), 2) 북한한류 해역, 3) 위 두 해역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외해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식물플랑크톤의 수직분포는 수층의 안정성과 영양소 농도에 좌우된다. 영양소 농도는 수괴에 따라 특징적인 분포를 보인다. 표층에서 N/P ratio 는 약 3으로서 연구 해역에서의 주 한정 영양소가 질소임을 나타낸다. N/P removal ratio 는 12.54 ($r^2$ = 0.96) 이며 redfield ratio 와 근사하다. 질소약층 중 prirnary nitrite maximum은 식물플랑크톤의 분비로 형성되고 secondary nitrite maximum은 용존산소의 값이 5.2ml/l 이상인 연안 수역에서 나타냈다. 이 secondary maximum 형성의 기작은 용존산소의 값이 0.25 이하인 경우에 나타나는 다른 해역의 경우와는 달리 5.2ml/l 이상인 수역에서 관찰되어, 박테리아 활동에 의한 유기물질의 분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나, 결론을 내리기에는 더 연구가 요망된다.

A study on quantitative phytoplankton samples, hydrographic conditions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and nutrients has been performed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Korean East Sea in early spring. Phytoplankton community showed close correlation with hydrographic conditions. This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hytohydrographic regions; 1) East Korean Warm Water Region (a branch of Tsushima Current), 2) North Korean Cold Water Region, and 3) offshore water region not affected by other two water regions. Vertic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s dependent upon stability of water column and nutrient concentration. Nutrient concentration shows characteristic distribution according to water masses. N/P ratio of ca. 3 in surface layer indicates that nitrogen is the major limiting nutrient in this area. N/P removal ratio was 12.54 ($r^2$ = 0.96), consistent with the Redified ratio. Primary nitrite maxima at the nitracline depths are thought to be formed by phytoplankton exudation. Secondary nitrite maximum was observed in coastal area with dissolved oxygen content of >5.2 ml/l much higher than <0.25 ml/l in other areas. The mechanism of secondary maximum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and whether it may be due to in situ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by bacterial activity is still open to discus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Korea Research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