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Food Components of Triploid Carp Muscle 1. The Taste Compounds of Triploid Carp Muscle

3배체잉어 근육의 식품성분에 관한 연구 1. 3배체잉어 근육의 정미성분

  • LEE Eu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UNG Bu-Gi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Jin-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AHN Chang-Bu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OH Kwang-Soo (Department of Fisheries Processing National Tong-Yeong Fisheries Technical College)
  • 이응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정부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김진수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안창범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오광수 (통영수산전문대학 수산가공과)
  • Published : 1989.06.01

Abstract

To obtain basic data on food components of triploid fish, we undertook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 nucleotide, total creatinine, betaine, trimethylamine oxide(TMAO)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diploid and triploid carps(Cyprinus carpio).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 and its related compounds in belly and dorsal muscles of triploid carp were 346.1mg/100g and 333.4mg/100g. Histidine occupied $45.1\%\;and\;46.9\%$ in belly and dorsal muscles, and followed by taurine, lysine and glycine in order. As for the compositions of nucleotide and its related compounds in those muscles of triploid carp, IMP were revealed $73.9\%\;and\;65.8\%$ of total nucleotide and its related compounds. The major component of the other organic base in those muscles of triploid carp was total creatinine, but betaine and TMAO were poor. The contents of taste compounds such as free amino acid, nucleotide, total creatinine, betaine, TMAO and their related compounds were less in triploid carp than in diploid carp of nonspawning season, while were more in triploid carp than in diploid carp of spawning season.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more in diploid carp of nonspawning season than in triploid carp, but mineral contents were more in triploid carp than in diploid carp of spawning seas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riploid carp is very worthy for a tasty and nutritional food source.

일반양식어(2배체)에 비해 사료효율이 높고, 성장율이 좋은 3배체잉어에 대한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비산란기 2배체잉어와 3배체잉어의 식품성분을 비교$\cdot$검토하였으며 아울러 산란기 2배체잉어와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은 비산란기 2배체잉어 및 3배체잉어가 산란기 2배체잉어에 비하여 수분함량은 낮았으며 조지방은 오히려 높았다. 배쪽육 및 등쪽육의 총유 리아미노산함량은 비산란기 2배체잉어가 각각 363.0mg/100g, 357.8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배체잉어 (346.1mg/100g, 333.4mg/100g), 산란기 2배체잉어(329.5mg/100g, 326.0mg/100g)의 순이었다. 시료어 및 근육의 종류에 관계없이 함량이 많은 유리 아미노산으로는 histidine, taurine, Iysine 및 glycine 등이었고, 이들은 전체의 $77.5\~83.2\%$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histidine 함량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함량은 시료어 및 근육의 종류에 관계없이 IMP함량($179.4\~198.4mg/100g$)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ATP함량이 많았으며, ADP, AMP, inosine 등은 미량 검출되었다. 시료어 및 근육의 종류에 따른 핵산관련물질함량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총creatinine함량은 근육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하였으나, 시료어간에 있어 서는 비산란기 2배체잉어가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배체잉어, 산란기 2배체잉어의 순이었다. betaine함량은 $63.5\~66.1mg/100g$으로 시료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TMAO는 모든 시료구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함량으로 미루어 보아 3배체 잉어의 맛에는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및 총creatinine의 순으로 관여하리라 생각된다. 3배체잉어의 총구성아미노산함량은 근육의 종류에 관계없이 비산란기 및 산란기 2배체잉어에 비하여 약간 적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무기질에 있어서는 3배체잉어가 비산란기 2배체잉어에 비하여 인 및 철의 함량은 약간 적었으나 칼슘의 함량은 오히려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3배체잉어는 비산란기 2배체잉어와 비교하여 볼 때 맛성분 및 영양성분에 약간 적었지만 큰 차이는 없었고, 산란기 2배체잉어보다는 그 함량이 많아 성(性)적 성숙기 및 산란기가 없는 3배체잉어는 식품원료학적으로 가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