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honeme Based Analysis of Korean Initial Plosives Using Statistical Method and Perception Tests

통계적 방법과 인지실험을 통한 한국어 초성파열음의 음소단위 분석에 관한 연구

  • 조철우 (국립창원대학 제어계측공학과) ;
  • 이우선 (국립창원대학 전자계산학과) ;
  • 이규호 (고려대학교 전자전산공학과) ;
  • 김종안 (한국전기통신공사 사업지원단) ;
  • 임광일 (대유공업전문대학 전기공학과) ;
  • 이태원 (고려대학교 전자전산공학과)
  • Published : 1989.10.01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a statistical methods and perception test for extracting the parameters to be used for the synthesis-by-rule of Korean plosives. Formant synthesizer is chosen for the synthesis of the phonemes. Speech materials for the analysis consists of 72 CV monosyllables from the single male speaker. The analysis is done mainly focused on the variation of parameter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 then perception tests are execu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variations of the formant transitions.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규칙합성에 관한 연구중 파열음의 함성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적 방법과 인지실험에 의한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합성기로는 직렬 포만트 합성기를 구성하여 사용하였고 통제적 분석에 사용된 음성시료는 9개의 초성 파열음과 8개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72개의 독립 CV형태를 갖는 단음절을 만일 화자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음성의 분석은 시간 및 주파수 평면에서 파라미터의 변화를 중심으로 행하였으며, 인지실험을 통한 파라미터 추정방법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포만트 파라미터의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