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專門大學) 수산가공과(水產加工科) 교육과정(敎育科程) 개선(改善)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Fisheries Processing in Fisheries Junior College

  • 발행 : 1989.07.10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식생활(食生活)의 다변화 및 향상(向上)으로 새로운 수산식품(水産食品)의 개발(開發)과 가공(加工) 저장 기술(技術)의 고도화(高度化)가 요구(要求)됨에 따라 수산식품제조(水産食品製造) 관리(管理)에 유능(有能)한 중견기술인(中堅技術人)의 양성을 위하여 전문대학(專門大學) 수산가공과(水産加I科)의 교육과정(敎育課程) 개선(改善)에 목적(目的)을 두었다. 본(本) 교육과정(敎育課程) 수정개발(修正開發)은 수산식품(水産食品)의 전망에 따라 직무(職務)의 종류(種類), 산업체(産業體)와 졸업생(卒業生) 및 재학생(在學生) 및 요구(要求) 등을 설문조사(說間調査)하고 식품가공(食品加工) 관련학과(關聯學科) 교수들의 의견(意見) 등을 검토분석(檢討分析)함으로써 최적 교육과정(敎育課程) 작성하려고 하였다. 1. 식품가공업(食品加工業)을 5종(種)으로 분류(分類)하였으며 수산가공기술자(水産加工技術者)가 갖추어야할 직무(職務)는 14개종(個種)으로 구분(區分)하였다. 2. 수산식품(水産食品) 가공기술자(加工技術者)의 능력(能力)을 배양하고 산업사회(産業社會)와 졸업생(卒業生) 및 재학생(在學生)의 요구(要求)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과목(敎科目)은 51개(個) 과목(科目)으로 보았다. 3. 51개 과목(科目)은 각각 교양(敎養) 13개 과목(科目)에 24학점(學點), 전공필수(專攻必須) 12과목(科目)에 34학점(學點), 전공선택(專攻選擇)은 24과목(科目)에 56학점(學點), 인접선택은 2과목(科目)에 5학점(學點)으로 하여 총 119학점(學點)에 142시간(時間)을 개설(開設)토록 하였다. 4. 이상(以上)의 교육과정(敎育課程)을 실현(實現)하기 위하여는 산학협동체제(産學協同體制)가 확립(確立)되어 산업체(産業體)의 시설을 학생(學生)이 학교(學校)의 시설을 산업체(産業體)가 활용(活用)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5. 충분한 기술교양(技術敎養)을 위해서는 교육 년한이 1년 이상 연장되어야 하며 기사(技師) 자격(資格) 시험에 있어서 인식도(認識度)를 묻는 차원(次元)에서 행위능력(行爲能力)을 묻는 차원(次元)으로 바꾸어야 한다. 6. 전문대학(專門大學) 교육내실화(敎育內實化)를 위하여 교재(敎材)의 개발(開發), 실험(實驗) 및 실습방법(實習方法)의 개선(改善), 교육평가(敎育評價)의 개선(改善)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the fisheries processing department in fisheries junior college in Korea. For this study, questionaries to alumani and students of the fisheries processing department of Tong-Yeong Fisheries Junior College are made and meeting materials of professors concerned and some leading managers of food processing company. In addition, curricula of the department food processing in two year or four year colleges both domestic and foreign are refered.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hown as follows ; 1. Subjects of the standard laboratory work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quired at the practical techique examination for the food precessing technitian certificates were chosen to student compulsorily, and the other subjects necessary to acquistion of the techniques were opened in this course electively. 2. The food processing departments in nationwide twenty-three junior college open seventy-eight major subject courses. Among those subjects, we choose the subjects only related to fisheries processing ones to put stress on the features of fisheries processing department. 3. The selected courses in improved curricula of this work are total 119 credits spending 142 class-hour per weeks. Detailed curricula are as follows ; liberal arts are consist of 13 subjects-24 credits, essential major subjects 12 subjects-32 credits, elective subjects 24 subject-56 credits and interdisciplinary subjects 2 subjects-5 credits. 4. The linking system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have to be established to fulfil the field practice, and legal basis should be made to support these educational circumstances. 5. To make sure a live education in junior college, present education terms should be extended more than 1 year, and improved textbook, method of experiment, practice and evaluation continuousl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