統計學과 應용

  • 윤기중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 Published : 1989.03.01

Abstract

本稿는 統計學의 理論 개척과 발전을 위해서 應用分野의 연구에 주력해야 할 필요성을 밝히려 한다. 우선 기존의 統計理論이 應用分野에서 生成 발전된 점을 밝히는 동시에 應用分野에 대한 연구의 관심을 확대시켜야 할 필요성을 설명하려 한다. 물론 數理統計學이나 確率論과 같은 分野는 論理的 硏究方法으로 數理解析의 발전이나 方法을 개척할 수가 있다. 그러나 그것도 人類의 福祉증진에 기여하게 된다는 최종적인 목적성이 전제된다면 현실의 應用分野와 결코 무관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위해서 우선 統計學이 과학으로 성립하기 이전의 生成 배경을 설명하면서 統計學이 人間의 生活과 얼마나 밀접하고 그 대상이 얼마나 광범위한가에 대하여 설명하려 한다. 처음부터 그것은 個人生活보다는 集團生活과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그리고 20世紀初에 론돈大學의 生物測定硏究室, 겔톤優生學硏究室 등을 중심으로 한 웰든, 겔톤, 피어슨 그리고 네이만의 生物測定硏究와 數理統計學연구와 핏샤와 끄ㅅ 등의 연구업적에 의해서 統計學이 科學으로 성립된 歷史的 사실을 반취하면서 統計學의 연구방법과 대상을 간접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 統計學이 他科學과 비교하여 硏究對象 方法 그리고 實踐的 側面에서의 學問的 特殊性을 설명하면서 統計學연구의 應用側面을 강조하게 된다. 끝으로 선구자들의 統計學연구방법과 태도를 조감하면서 어떻게 하면 새로운 統計的方法을 개척할 수 있고 또 他分理 연구에 기존의 統計的方法이 기여할 수 있는가의 方法을 탐색하게 될 것이다. 즉 專門硏究機關에서, 實務現場에서 새로운 硏究對象을 찾아 새 方法을 개척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論議하게 된다. 이러한 탐구는 모두 과거에 統計學발전에 기여한 여러 선구자들의 연구방법과 업적을 되새기면서 유도된다.격)개발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는 일일 것이다. 통계분야에서도 몇가지 표준화 활동이 ISO 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실험과 검증 결과의 표현과 해석, 표본추출 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 이들은 통계의 응용분야에서 꼭 필요한 표준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우리나라 국민의 표준체위값을 설정하기 위하여 측정조사할 때 측정방법 뿐 아니라 표본추출 방법과 통계자료 처리과정의 표준화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각 기관에서 조사 발표하는 체위관계 자료가 상이하여 국가기관의 통계자료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고 통계값을 이용하여 의류, 신발 등의 제품을 제조하는 산업계에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고에서는 ISO의 활동을 정보처리 분야에 초점을 맞춰 간략하게 설명하고 통계분야의 국제 활동을 비전문가인 필자들이 아는대로 소개하는 한편 국내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관련 기관, 학계 및 산업계 관련전문가들의 ISO 국내활동 참여를 제의하고자 한다.mes$E조합에서는 견층비율의 자잠에서, D$\times$F조합에서는 웅잠의 견층비율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