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ility Analysis of Seokchook Using the Design Method of Rockery

Rockery설계방법에 의한 석축의 안정성 검토

  • 김시년 (동양시멘트공업주식회사, 전 경희대학교 대학원) ;
  • 양우식 (동신공과대학. 경희대학교) ;
  • 백영식
  • Published : 1989.06.01

Abstract

The Seokchook has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standard cross sections depending mainly on its height. And there have been felts experimental studies to deft.Glop the analytical methods to analyze the stability of the Seokchook. Hendron presented from his experimental results a method for the design of the Rockery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Seokchook. This study evaluates the stability of the various standard sections of the Seokchook using Hendron's method. It is concluded that most sections are stable when the internal friction angle exceeds 30 degrees. However, when the internal friction angle is smaller than 30 degrees, there can be some limitations in making use of the standard cross sections.

석축은 장구한 경험의 축적에서 얻어진 표준단면을 사용하여 설계되고 또한 액공되어 왔다. 그리 고 이 표준단면은 각 기관에 따라 약간 상리한 형태로 되어 있다. 석축 단면의 안정성을 검토하는 해석적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실험연구는 별로 없는 상태이다. Hen-dron은 석축과 대 단히 유사한 Rockery설계를 위 한 도표와 계산식을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각 기관의 석축 표준단면의 안정성을 Hendron의 방법으로 검토하고 그 결과 를 제시하였다. 내부마찰각이 30$^{\circ}$이상인 경우 석축은 안전하다고 판단되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표준도의 사용에 주의를 요할 때도 있다. 단, Rockery는 메쌓기에 가까우므로 찰쌓기의 경우 이 분 석결과에는 여유가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