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적 확산모델을 이용한 하도홍수추적

A Channel Flood Routing by the Analytical Diffusion Model

  • 유철상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대학원) ;
  • 윤용남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발행 : 1989.12.01

초록

해석적 확산 모델의 지배방정식의 유도와 해를 구성하는 각 항의 특성에 관해 상세하게 살펴본후 IHP 평창강 대표유역의 1985-1986 홍수사상을 본 모델로 추적하여 Kinematic Wave 모델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분석에 의하면 해석적 확산 모델에 의한 해는 Kinematic Wave 모델에 의한 해보다 실측치에 훨씬 가까운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델은 특히 측방류입수나 하류수위변동에 의한 배수효과까지 고려하여 홍수를 추적할 수 있어 타 간략해법보다 정확한 결과를 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이 모델은 원하는 특정 하천단면에서의 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할 수 있어 전산시간과 소요자료 정리에 필요한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The analytical diffusion model is first formulat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critically reviewed. The flood events during the 1986-1988 flood seasons i the IHP Pyungchang Representative Basin are routed by this model and a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kinematic wav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alytical diffusion model simulates the observed flood events much better than the analytical kinematic wave model. The present model is proven to be an excellent means of taking the backwater effect due to lateral inflow or down river stage variations into consideration in channel routing of flood flows. It also requires much less effort and computing time at a desired station compared to any other reliable flood routing metho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