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미셀계를 이용한 대두 단백질로부터 트립신 저해제의 분리에 관한 연구

Separation of Soybean Trypsin Inhibitor Using Reverse Micellar System

  • 조상우 (광주보건대학 식품가공과) ;
  • 최춘순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학과) ;
  • 이준식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학과)
  • Jo, Sang-W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Gwangju Health Junior College) ;
  • Choi, Choon-So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 Technology, KAIST) ;
  • Lee, Jun-Si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 Technology, KAIST)
  • 발행 : 1989.07.01

초록

역미셀계를 이용하여 대두 트립신 저해제의 분리에 대하여 고찰한 바, 여러 완충 수용액 중에서 1.0M $C_aCl_2용액(pH3.0)과 1.0M NaCl용액(pH 11.5)이 단백질의 용해와 회수에 가장 적당하였다. 이 조건을 두 모델계와 하나의 실제시료에 적용해 본 결과, 7S 단백질과 트립신저해제로 구성된 모델계에서는 비활성이 두배이상 증가되었고, 선수용성 단백질과 트립신 저해제로 구성된 모델계에서는 1.6배의 비활성 증가를 볼 수 있었다. 광교대두로부터 추출한 전유출물의 경우, 1.56배의 비활성 증가가 있었다. 이들을 SDS-PAGE로 확인한 결과 모두 매우 순수한 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The separation of trypsin inhibitir using reverse micellar system was invertigated. Among the biffer system tested, 1.0M $CaCl_2$ solution (pH 3.0) and 1.0M NaCl soluation (pH 11.5) were most effective for solubilization and de-solubilization of protein, respectively. When these conditions were applied to two model sampeles, one of which was composed of the same amount of 7S protein and trpsin inhibitor, and the other of which was composed of the same amount of soluble soybean protein isolates and trypsin inhibitor, highly pure trypsin inhibitor was obtained. And in the real soybean, Kwng Gyo, pure trypsin inhibior was also obtain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