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e Structural Study on the Capture Thread-Producing Organs in Nephila clavata L.Kocn (Aranese: Araneidae) I. Aggregate Gladns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Koch) 포획사 생성기관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I. 수상선

  • Published : 1989.07.01

Abstract

The fine structure of the aggregate glands-one of the capture thread producing organs-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ata L.Koch, is studied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Gluey capture threads or sticky spirals of the orb web are originated from the silks of two flagelliform glands and four aggregate glands which are connected to the posterior spinnerets, and the arrangement fo their spigots(large spinning tubes) shows a charaterstic form called "triad". The aggregate galnd is composed of large and multilobed secretory portion and thick excretory duct surrounded by large irregular nodules. The excretory duct of the aggregate galnds basically consists of three superposed types of cells which are inner columnar epithelium, nodule-forming cells and outer connestives. The cuticles of the proximal duct near the secretory portion are composed of endocuticle and exocuticle, whereas ghe distal duct near the spinning tubes has a electron lucent subcuticle which had the functions of water removal and orientation of silk fibers. In the cytoplasmic process of the large and irregular nodule-forming cells surrounded by invaginations of the plasma membranes, numerous mitochondria and glycogen particles are contained. The maturational level of the nodule cells is perceived from the appearence of these cell inclusions. The secretory portion of the glands which porduce the secretory silk material shows two layers of the cells which are simple cuboidal epithelium and several connective layers. In the cytoplasm of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 rough endoplasmic reticulums are well developed, and two types of secretory granules are observed. Between the adjacent epithelial cells, specialized septate junctions are formed along the plasma membranes.membranes.

왕거미과의 무당왕거미속중에서 유일하게 국내에 서식하는 무당거미를 재료로 포획사 생성에 관여하는 수상선의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견사생성과 관련된 세포질내 세포소기관들과의 상관관계를 형태적인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점착성이 강한 실을 분비하여 포획실을 짜는 두쌍의 수상선은 편상선과 함께 독특한 구조인 triad를 이루고 있었으며, 복강의 전역에 걸쳐 수지상의 돌기를 뻗고 있는 대형의 선분비부와 외벽에 많은 결절들이 부착되어 있는 굵은 분비관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분비관의 내강에는 큐티클층이 형성되어 있었고, 상피는 단층 원주상이었으며, 그 주위에 결절형성세포와 얇은 결합조직세포가 둘러싸고 있었다. 선분비부와 가까운 근위부의 큐티클은 endocuticle 및 exocuticle의 두층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토사관에 가까운 원위부에서는 수분의 흡수와 관련된 subcuticle층이 매우 발달되어 있었다. 결절형성세포는 원형질막의 함입에 의해 형성된 세포질돌기의 내부에 수많은 글리코겐입자와 미토콘드리아가 밀집되어 있었으며, 세포의 성숙단계에 따라서 이들의 분포상태가 각각 달리 관찰되었다. 견사물질을 생성, 분비하는 선분비부는 한층의 입방상피세포층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조면소포체가 특이적으로 발달된 선상피세포의 내부에는 형태적으로 상이한 두종류의 분비과립들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인접한 세포들은 septate junction에 의해 연접되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