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SDS-PAGE Pattern of Mung Bean Grain Proteins During Germination

녹두 발아중 분획한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의 변화

  • Cho, Sung-Hw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Gye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yo, Kw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Gyengsang National University)
  • 조성환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표광호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9.09.30

Abstract

Changes of protein contents and amino acid composition and SDS-PAGE pattern of protein of mung bean which were germinated in dark at $25^{\circ}C$ for 6 day. The total protein contents gradually decreased during germination and the contents of each fractionative soluble proteins were increased shortly after the soaking of mung bean and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afterwards. SDS-PAGE of albumin fraction showed 18 bands, and during the germination the most of bands were diminished or disappeared. But protein bands at 24,000, 40,000, 45,000, 70,000 dalton position remained until 6th day of germination. SDS-PAGE of globulin fraction showed 6 discrete bands, and during the germination the protein band at 45,000 dalton position disappeard. But the protein bands at $14,000{\sim}25,000$ dalton position did not change during the period. SDS-PAGE of glutelin fraction showed 10 discrete bands, and during the germination the bands of $45,000{\sim}70,000$ dalton become diminished or disappeared. But the bands of 30,000, 60,000 dalton did not change throughout the germination period.

숙주나물의 수분함량, 신장도, 질소함량 및 각 단백질 분획들의 전기영동 패턴과 아미노산조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숙주나물의 신장도는 재배방법에 의해 약간 달라질 수 있으나 온도가 높을수록 신장도는 커지고 온도가 낮으면 신장도는 작아지나 우리가 섭취할 수 있는 가식부는 크게 나타난다. Weber 변법에 의한 숙주나물의 분회별 단백질 함량은 glutelin량이 가장 많고 globulin, albumin 순이었다. 발아중에 추출율의 차이는 있었으며 대체로 단백질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분획들을 전기영동하여 관찰한 결과 모든 녹두단백질들이 발아기질로 이용되어 발아기간이 늘어날수록 단백질량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아시간에 의한 숙주나물의 신장도와 단백질변화를 비교해 볼 때 상품적 가치로서는 발아 4일이 최적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Asp, Glu을 월등히 많이 함유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산성 아미노산은 감소하고 염기성 아미노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다른 아미노산들은 발아중 유의할 만한 변화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