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everal Weeds of Compositae

국화과(菊花科) 잡초(雜草)의 발아특성(發芽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B.M. (College of Agriculture, Korea Univ.) ;
  • Kang, B.H. (College of Agriculture, Korea Univ.)
  • Published : 1988.10.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pattern in relation to temperatures and lights, and the emergence pattern in relation to seeding depths, lights and the alpha amylase activity of Youngia sonchifolia,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Ixeris dentata var. albiflora and Ixeris polycephala. In Y. sonchifolia,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was $25^{\circ}C$, the optimum seeding depth to emerge was 0 mm and it could emerge in 0-5mm. In L. indica var. laciniata under cool storage,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s were $19^{\circ}C-28^{\circ}C$, the optimum seeding depth was 5mm and it could emerge in 0-20mm. In L. indica var. laciniata under room storage,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was $25^{\circ}C$ the optimum seeding depth was 5mm and it could emerge in 0-10mm. In I. dentata emerge was and 0mm and it could emerge in 0-5mm. In I. polycephla, the optimum temperatures were $16^{\circ}C-19^{\circ}C$, the optimum seeding depth to emerge was 0mm and it could emerge in 0-5mm. The alpha amylase activity was lower Y. sonchifolia, L. indica var. laciniata and I. dentata var. abiflora than barley cultivar Dongbor#1. And the increased pattern of alpha amylase activity was likely to it of germination rate.

본(本) 시험(試驗)에서는 광(光)과 온도(溫度)에 따른 발아특성(發芽特性)과 심도(深度)에 따른 발아양상(發芽樣相) 및 ${\alpha}$-amylase activity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 벌씀바귀를 공시식물(供試植物)로 하여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 벌씀바귀는 모두 광조건하(光條件下)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다. 2. 고들빼기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5^{\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3. 왕고들빼기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냉온보관(冷溫保管)된 종자(種子)에서는 $19^{\circ}C{\sim}28^{\circ}C$였으며,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에서는 $25^{\circ}C$였다. 그리고 냉온(冷溫) 및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의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5mm였다. 또한 냉온보관(冷溫保管)된 종자(種子)는 0~20mm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으며, 실온보관(室溫保管)된 종자(種子)는 0~10mm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4. 흰씀바귀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2^{\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5. 벌씀바귀의 출아적온(出芽適溫)은 $16^{\circ}C{\sim}19^{\circ}C$였으며, 최적출아심도(最適出芽深度)는 0mm였다. 또한 0~5mm의 심도(深度)에서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했다. 6. 고들빼기, 왕고들빼기, 흰씀바귀는 모두 대조구(對照區)인 동보리 1호보다 ${\alpha}$-amylase activity가 현저히 낮았으며, ${\alpha}$-amylase activity의 증가(增加)는 발아후(發芽後) 증가(增加)와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