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sulfuron에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인 수도품종간(水稻品種間)의 해부학적(解剖學的) 비교(比較) 연구(硏究)

Anatomical Difference Between Two Rice Cultivars Selected to Bensulfuron

  • Cheon, S.U. (Coll. of Agri., Chonnam Nat'l Univ.) ;
  • Guh, J.O. (Coll. of Agri., Chonnam Nat'l Univ.) ;
  • Lee, Y.M. (Coll. of Agri., Chonnam Nat'l Univ.) ;
  • Lee, D.J. (Coll. of Agri., Chonnam Nat'l Univ.)
  • 발행 : 1988.10.30

초록

Agar 배지(培地)에 $10^{-7}$, $10^{-6}$, $10^{-5}$$10^{-4}M$이 되도록 bensulfuron을 가감(加減)하고, 여기에 감수성(感受性)(cv. KH 17854 와 cv. IR 1846) 및 내성(耐性)(Chinsurah Boro II와 IR14252)으로 기(旣)히 선택(選擇)된 두 수도품종군(水稻品種群)을 육묘(育苗)하여 검검자료(檢鏡資料)로 하였다. 일차적(一次的) 차이(差異)는 $10^{-5}M$에서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들이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에서 유의적(有意的)인 신장차이(伸長差異)가 있었던 반면 내성품종(耐性品種)들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며, 생장량(生長量)에서의 차이(差異)도 없었다. 종단(縱斷)하여 검경(檢鏡)한 결과(結果), 분열조직(分裂組織)의 신장면(伸長面)에서도 위와 유사(類似)한 반응차이(反應差異)가 관찰(觀察)되었다. 토양(土壤)에서 10일간(日間) 육묘(育苗)한 후 용액재배(溶液栽培)를 통하여 약제(藥劑)를 뿌리흡수(吸收)시킨 결과(結果), 생장점(生長點)의 활성억제(活性抑制)와 부피팽창(膨脹) 현상(現象)이 품종군간(品種群間)에 유의적(有意的) 차이(差異)가 있음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고, 세포단위(細胞單位)의 검경(檢鏡)에서 특히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들의 경우에 세포배열(細胞配列)의 불규칙성(不規則性), 액포화(液胞化), 세포비대화(細胞肥大化), 부분적(部分的)인 세포막(細胞膜) 파괴(破壞) 현상(現象) 등을 관찰(觀察)할 수 있으며 내성품종(耐性品種)에선 이보다 덜 하였다. 한편 근단분열조직(根端分裂組織)의 변화양상(變化樣相)에 있어서도 주요한 해부적(解剖的) 반응(反應)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의 근단(根端)이 피층세포(皮層細胞)의 불규칙화(不規則化), 세포막(細胞膜)의 파괴(破壞)와 수축(收縮), 세포분열억제(細胞分裂抑制)와 비대화(肥大化), 측근발생(側根發生) 등으로 나타났으며 내성(耐性) 품종(品種)에선 그 정도(程度)가 매우 경미(輕微)하게 나타났다.

Bensulfuron concentrations of $10^{-7}$, $10^{-6}$, $10^{-5}$ and $10^{-4}M$ were applied to agar medium on susceptible (cv. KH 17854 and cv. IR 1846) and tolerant (cv. Chinsurah Boro II and IR 14252) rice cultivars were grown for microscopic inspection. Susceptible cultivars showed the decrease in shoot and root growth at the concentration of $10^{-5}M$ while ones showed no difference. Such a tendency was also observed from microscopic inspection in the elongation zone of shoot meristematic tissue. Seedlings grown in soil for 10 days were transfered to distilled water containing only bensulfuron solu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ltivars in terms of supression of shoot meristematic activity and swelling of cell volume. Observations of those cells made it clear that especially susceptible cultivars showed the irregular cell layering, vacuolation, cell swelling and partial damage in membrane of shoot tissue. The major response of root tips of susceptible cultivars showed the disorganization of cortex, rupture and contraction of membrane, inhibition of cell division, swelling and emergence of lateral root while tolerant ones showed no such respon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