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飮酒) 및 흡연(吸煙)이 Aminotransferase 활성치(活性値)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rinking and Smoking on AST and ALT Activities

  • 김두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서설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Kim, Doo-Hi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eo, Seo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8.11.01

초록

간기능에 대한 음주와 흡연의 영향을 보기 위해서 1986년 12월 25일부터 1987년 4월 30일까지 약 4개월에 걸쳐 대구의료원을 찾은 채용신체검사 수검자들 중에서 AST 및 ALT 활성도검사, 간염 항원 항체검사, 간디스토마 피내반응검사를 실시한 900명의 검사성적과 설문지를 분석하여 AST 및 ALT 이상자율을 비교검토 하였다. AST 및 ALT 이상자율을 유해인자 수별로 보면 간기능 유해요인수의 증가에 따라 이상자율이 높았다. 특히 HBs-Ag, 음주 및 흡연의 상호복합작용에 있어서 AST 및 ALT 이상자율이 높았다. 단일 음주군, 흡연군에 대한 연령에 따른 AST 및 ALT 이상자율은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고, 30대에서 다소 이상자율이 높게 나타났다. 단일 음주군의 AST 및 ALT 이상자율은 음주기간이 길 수록, 음주량이 많을 수록, 음주빈도가 잦을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막걸리와 소량의 맥주 음주자에게서는 이상자가 없었다. 단일 흡연군의 전이효소 활성치 이상자율도 흡연기간이 길 수록, 일일 흡연량이 많을 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음주 및 흡연군에 대한 AST 및 ALT의 이상자율은 변량상관행렬에서 음주와 흡연기간이 길수록, 흡연량 및 나이가 많을수록 높았으며, 다중회귀분석결과는 음주기간, 음주량 및 음주빈도와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흡연량, 흡연기간과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AST 및 ALT의 이상율에 대한 이들 선택된 변수들은 13.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The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inking and smoking for the activitie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or GO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or GPT), from December 25, 1986 to April 30, 1987. The male physical examinees for employment, 900 who had visited to the Taegu Medical Center were subjected. And the positive cases of HBs-Ag, Anti-HBs and skin test for Clonorchis sinensis were excluded. The general characters of drinking and smoking pattern were introduced by interview with questionnaire provided for. In drinking cases, the longer duration was significantly effected the higher rate of abnormality in AST and ALT level. But the amount and the frequency were not. It was not appeared effects by mackgulri which is a Korean traditional wine and small amount of beers. In smoking cases, also same pattern. The age was related in all cases. By the way, when the effect is related the positive results with other factors: HBs-Ag, Anti-HBs, skin test for Clonorchiasis and harmful occupational history, it is higher abnormal rate of AST and ALT in the duplicated cases with two factors or more. Particularly in HBs-Ag positive cases, those who had smoking was the highest in rate of abnormality, and drinking was the follows. In correlation matrix among seven factors; HBs-Ag, age, drinking amount, drinking period, drinking frequency, smoking amount and smoking perio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 between the abnormal rate and to with age, drinking period, smoking period, and smoking amou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