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ethods Estimating the Impulse Response of a System with Long Reverberation Time using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FT를 이용한 잔향이 긴 음향 전달계의 임펄스 레스폰스 추정에 관한 연구

  • 김천덕 (부산수산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
  • ;
  • Published : 1988.04.01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ree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the impulse reponse in an indoor acoustic transfer system which rather has long reverberation time by the cross spectrum. The first method, which is the conventional one, will use the white noise as the source signal. Therefore, the very long time window data and numerous number of DFT are necessary for this estimation. The second method has been disigned in order to shorten the length of time window of the first method by using a burst of noise as the source signal. The third method which will be suggested in this paper uses too types of definite signal with short duration time of the source signal. According to the view point of computation capacity, and estimation accuracy of the impulse response, the compar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hird method will be better than the others.

이 논문은 긴 잔향을 갖는 실내의 음향전달계의 임펄스 레스폰스를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의 알고리즘으로 크로스 스펙트럼 (cross spectrum method)에 의해 구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첫째의 방법은 종래부터 사용되어온 방법으로 음원신호로서 백색잡음(white noise)을 사용한다. 따라서, 임펄스 레스폰스 추정시 매우 긴 시간창의 데이터와 다수회의 DFT를 행하여야 한다. 두번째 방법은 음원신호로써 짧은 지속시간의 랜덤노이즈(random noise)를 사용하여 첫번째 방법에서 DFT수행시 데이타의 시간창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개발된 방법이다. 세번째 방법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음원신호로써 짧은 지속시간의 두 종류의 확정산호를 교차하여 발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DFT수행시 시간창의 길이는 두번째 방법과 같고 FFT 계산횟수는 5번으로 행할 수 있다. 이들 음원신호에 대해 잔향이 긴 음향전달계의 임펄스 레스폰스 측정은 전자계산기의연산처리능력과 임펄스 레스폰스 측정정도의 관점에서 비교 시험한 결과는 마지막 방법이 가장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