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토양(畓土壤)에서 요소(尿素)의 분해양상(分解樣相)과 Urease의 Kinetic 특성(特性)

Urea Transformation and Kinetics of Soil Urease in Paddy Soils

  • 조강진 (영남작물시험장) ;
  • 최정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Cho, K.J. (Yeongnam Crops Experiment Station, RDA) ;
  • Choi, J.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8.03.31

초록

답토양(畓土壤)에서 요소(尿素)의 분해양상(分解樣相)과 관련(關聯)한 urease의 Kinetic특성(特性)을 알기위해서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 urease활성(活性)이 상이(相異)한 4개(個) 토양(土壤)을 사용(使用)하여 toluene처리(處理) 및 무처리(無處理) 조건(條件)에서 시간별(時間別) 요소(尿素)의 분해량(分解量)과 요소(尿素) 농도별(濃度別) urease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Toluene 무처리(無處理) 조건(條件)에서는 총(總) urease활성(活性)이 높은 강서(江西) 사양토(砂壤土)에서 요소(尿素)의 분해(分解)가 가장 빨랐고 1차반응속도정수(次反應速度定數)와 Km 및 Vmax치(値)도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호남(湖南) 미사식양토(徵砂値壤土)> 장천양질사토(長川 壤質砂土)> 광포(廣浦)(염해답(鹽害畓)) 사용토(砂壤土) 순(順)이었다. 그리고 tolune처리(處理)는 전(全) 토양(土壤)에서 요소(尿素)의 분해(分解)를 지연(遲延)시켰으며 토양축적(土壤蓄積) urease활성(活性)이 가장 느렸으며 1차반응속도수(次反應速度定數)와 Km 및 Vmax값도 가장 낮았다. 그리고 토양(土壤)에 축적(蓄積)된 urease의 Km치(値)가 미생물(微生物) 분비(分泌) urease의 Km치(値)보다 적었으며, 미생물(微生物) 분비(分泌) urease의 Km치(値)는 토양간(土壤間)에 차이(差異)가 경미(輕微)하였다.

A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urea transformation and kinetics of soil urease in paddy soils with different properties. Urea transformation in paddy soils followed first-order kinetics, the rate of urea hydrolysis and the first-order constant was higher in the soil with high total urease activity (TUA) and accumulated urease activity (AUA) than those with low TUA and AUA. The values of Km and Vmax indicated that the Km values of accumulated urease in the soils were different in each soils and lower than that of microbial urease. However, the Km values of microbial urease were nearly same each oth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