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of Productivity by Forest Tree Breeding Work in Korea

우리나라에서의 임목육종(林木育種)에 의(依)한 생산성(生産性) 증가(增加)

  • Received : 1988.09.01
  • Published : 1988.12.31

Abstract

Improvement of productivity by forest tree breeding work in Korea was estimated for a few important tree species. Progenies of 17 plus trees of red pine (Pines densiflora) outgrew by 57 percentage compared with progenies of unselected trees at age 15. If best three families are selected among the 17, more than double in volume grow-th is expected. The hybrid Pinus rigida ${\times}$ P. taeda showed more than double volume growth compare to P. rigida at a southern plantation at age 15. However, the superiority of the hybrid decreased at northern plantations, mainly because of low coldhardiness of the hybrid. At a northern plantation, the hybrid grew less than the P. rigida on upper hill, while the hybrid grew much better than the P. rigida on flat area. Another hybrid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grew faster than both parents by two to two and half times according to planting sites at age 10. Introduction of Pinus rigida also showed increased volume growth. Volume increase by selection of best five provenances among 45 at age 12 was estimated as 53 percent compare to progenies of plus trees in Korea, Additional 19 percent of volume increase was expected by selection of the best families within the best provenances. Annual production of chestnuts reached about 70,000 M/T by planting resistant clones to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which killed almost all susceptible trees. Although polyploid trees and mutants have been produced by colchicine treatments in over 10 tree species, none of them is economically important Remarkabl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s expected by biotechnology in future through selection, hybridization, introduction of foreign genes at cell, cell organelle and gene level, and gene transformation. At present, mass propagation of superior planting materials by tissue culture will increase the productivity.

우리나라에서의 임목육종(林木育種)에 의(依)한 생산성(生産性) 증가(增加)를 중요(重要)한 몇 수종(樹種)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소나무 수형목(秀型木) 17가계(家係)의 차대(次代)는 15년생(年生)에서 비수형목(非秀型木) 차대(次代)와 비교(比較)하여 57%의 재적(材積) 증가(增加)를 보였다. 17가계(家係)중 우수(優秀)한 세 가계(家係)를 재선발(再選拔)한다면 배이상(倍以上)의 재적 증가가 기대되었다. 15년생(年生) 리기테다소나무는 전북(全北) 완주(完州)에서 리기다소나무보다 배이상(倍以上)의 재적 생장을 하였다. 그러나 이 잡종(雜種)의 우수성(優秀性)은 북(北)쪽으로 올라 갈수록 감소(減少)하였는데 주로 내한성(耐寒性)이 약(弱)한 탓으로 생각된다. 경기(京畿) 용인(龍仁)의 평지(平地)에서는 리기테다소나무가 리기다소나무보다 생장(生長)이 훨씬 좋았으나 산정(山頂)에서는 리기다소나무보다 생장(生長)이 떨어졌다. 현사시는 10년생때 식재장소(殖栽場所)에 따라 양친수종(兩親樹種)보다 2~2.5배(倍)의 생장(生長)을 보였다. 도입(導入)된 리기다소나무도 재적(材積) 생장(生長) 증가(增加)를 보였다. 45개(個) 산지(産地)에서 도입(導入)한 12년생(年生) 리기다소나무중에서 우수한 다섯 산지(産地)를 선발(選拔)하면 국내(國內)에서 선발(選拔)한 수형목(秀型木) 차대(次代)보다 53%의 재적(材積) 증가(增加)가 기대되었다. 선발(選拔)된 다섯 산지(産地) 각각에서 최상(最上)의 가계(家係)를 (산지(産地)당 5가계(家係)로 조성되었음) 재선발(再選拔)한다면 다시 14%의 재적(材積) 증가(增加)가 기대된다. 연간 밤 생산(生産)은 칠만톤에 달하는데, 이것은 밤나무 순혹벌에 내충성(耐虫性) 품종(品種)을 심은 덕으로 생각된다. 비내충성(非耐虫性)인 재래종(在來種) 품종(品種)은 이 곤충(昆虫)에 의해 거의 전멸(全滅)하였기 때문이다. 콜키신처리(處理)에 의(依)한 배수체(倍數體) 및 돌연변이체(突然變異體)가 생산(生産)된 수종(樹種)은 10여 수종(樹種)에 이르나 경제적으로 중요한 수종은 없다. 장차 획기적인 생산성(生産性) 증가(增加)가 생물공학(生物工學)에 의하여 기대되는데 생물공학(生物工學)은 세포(細胞), 세포(細胞) 소기관(小器管), 유전자(遺傳子) 단위에서 선발(選拔), 교잡(交雜), 외래(外來) 유전자(遺傳子) 도입(導入)이 가능하고, 유전자조작(遺傳子操作)까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로는 유전적 우수성이 입증된 조림 수종을 조직배양(組織培養)으로 대량번식(大量繁殖)시킴으로써 생산성(生産性) 증가(增加)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