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지방(中部地方) 낙엽송림분(落葉松林分)의 재적식(材積式) 및 수고식(樹高式)에 관(關)한 연구(硏究)

Equations for Estimating Volume and Height of Larix leptolepis Growing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 투고 : 1987.11.25
  • 발행 : 1988.03.31

초록

중부지방(中部地方) 낙엽송림분(落葉松林分)에 대(對)하여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연령(年齡)에 의(依)한 이변수재적식(二變數材積式) 및 수고추정식(樹高推定式)을 작성(作成)하고 적합성(適合性)을 검토(檢討)하였다. 경기(京畿) 및 강원도(江原道)의 5개(個) 지역(地域)에 식재(植栽)되어 있는 5~45년생(年生) 락엽송림분(落葉松林分)을 대상(對象)으로 $40m{\times}40m$ 조사구(調査區) 19개(個)를 설치(設置)하고, 5년(年) 영급별(齡級別)로 각(各) 40본(本)씩 총(總) 320본(本)의 표본목(標本木)을 벌도(伐倒)하여 구분구적(區分區積)하였으며 각종(各種)의 추정식(推定式)을 이용(利用)하여 적합성(適合性)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본(本) 연구방법(硏究方法)의 장점(長點)을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삼림조사시(森林調査時) 수고(樹高)를 측정(測定)하지 않고 연령(年齡)과 흉고직경(胸高直徑)에 의(依)해 재적(材積)과 수고(樹高)를 효과적(效果的)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으므로 노력(努力)과 시간(時間)을 절감(節減)하는 효과(效果)가 있다. 2. 연령(年齡)은 인공림(人工林)의 경우(境遇) 파악(把握)이 용역(容易)하고 측정오차(測定誤差)를 갖지 않으므로 관계식(關係式)의 적용(適用)이 간편(簡便)하다. 3. 수고(樹高)를 추정(推定)한 다음 재적(材積)을 구하는 이른바 이중추출(二重抽出)에 의해 발생(發生)하는 오차(誤差)가 줄어든다.

A total of 320 Larix leptocepzs Trees growing in Kyonggi and Kangwon Province were examined to estimate tree volume and height with DBH and age. The criteria of selecting the "best" regression equation were based o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djusted standard error, I, and the ease of application.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the method of estimating tree volume and height with DBH and age showed the following advantages ; 1. Since no measurement of tree height is needed, it saves time and labor in forest survey. 2. It has the ease of application because age is determined directly in artificial forests. 3. Volume and height can be estimated more easily and accurately with DBH and age than other metho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