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ate and Degrees of Defoliation on Seed Yiel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erilla(Perilla ocymoids L.)

채엽시기와 정도가 들깨의 종실수량과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 Bin, Young-Ho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e, Zhin-Ryong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ang, Min-Suk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k-Hyeon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88.06.01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time and degree of defoliation on the seed yield,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erilla seed, two cultivars, Namhae and Geumnung, were grown in two years, 1985 and 1987. Defoliation was initiated after 110 days from sowing with two-week interval. Defoliation degree was manipulated into four levels i.e. 0, 25, 50 and 75 per cent based on the total leaf area per pla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culm length, culm diameter and branch number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efoliation time and degrees, but by the cultivars. The higher levels of defoliation was made, the lower seed yield and 1000-seed were obtained, and either the earlier or the later time of defoliation, the less influence on seed yield were observed for both cultivars. Severe defoliation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oil content. The composition of unsaturated and saturated fatty acid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evere defoliation (above 25 per cent). In conclusion, with a view to achieving higher seed yield and oil content with good quality, it is advisable to defoliate perilla leaf less than 25 per cent based on total leaf area at either or later growth stages.

남해종과 금릉종의 들깨 2 재래종을 공시하여 채엽시기와 채엽정도를 달리하였을 때 생육, 수량 및 함유량 그리고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씩 이들 삼자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거나, 적어도 둘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채엽방법을 모색하고자 1985년과 1987년의 2개년에 걸쳐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일수, 성숙일수 및 경장, 경직경과 분지수는 채엽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2 채엽정도가 심해질수록 천립중이 감소 하였으며 그 결과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조기 채엽에서는 수량감소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채엽과 종실을 목적으로 들깨를 재배할 경우에는 조기 채엽이 적절한 것으로 보였다. 3. 채엽정도가 심할수록 함유량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4.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조성비는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으나 채엽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서 불포화지방산이 약간 감소되었다. 채엽정도가 25%일 때 들깨 유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종실수량, 함유량, 그리고 지방산 조성면에서 고려해 볼 때 개화기 이전에 25% 정도로 가볍게 채엽을 하면 수량감소를 줄이면서 함유량과 지방산 조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었으며, 채엽시기가 이르거나 아주 늦을 때에는 수량을 크게 감소 시키지 않으면서 양질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