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oil Acidity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Barley Cultivars

대맥의 내산성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I. 토양산도와 질소시용량이 대맥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88.03.01

Abstract

The effects of pH and Aluminum treatment on the seedling growth were examined with 11 cultivar under three levels of pH in nutri-culture..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il pH and nitrogen fertilization were also studied with five cultivars under 3 levels of soil pH and 3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in the field experiment. The effect of pH on the seedling growth was not significant, but Aluminum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edling growth in nutri-culture except Dusan #12. Chlorophyll contents of leaves, dry weight of plants, culm length, spike numbers per unit area, grain numbers per spike, grain weight, and yield were decreased as the decrease of soil pH, and thu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il pH during barley growth and yield was observed in all cultivars examined. The stable cultivars to different soil pH with high yield was not found although the decreases of yield were different with cultivars.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itrogen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eaves, and dry weight of plants, while showed a little effects on the culm length, spike number per unit area, grain number per spike, grain weight and yield. The yiel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ulm length, dry weight of plants, grain number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at each pH levels.

토양 및 양액의 pH와 질소시용량이 대맥 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액의 PH가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하지 않았다. 2. 양액중에 0.6 mM의 Al 처리에 의하여 유묘의 근 및 지상부 생육이 현저히 억제되었는데 두산1002는 거의 생장저해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Al에 내성품종으로 나타났다. 3. 엽중의 엽록소함량은 토양 pH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였고 질소증가에 따라 엽록소 및 질소함량은 증가하였다. 4. 출수기는 토양 pH의 증가에 따라 1~2일 빨라졌으며 질소증가에 따른 출수기의 변화는 현저하지 않았고 품종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간장은 토양 pH의 저하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고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다. 6. 지상부 건물중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토양 pH의 감소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질소증시에 따라 증가하였다. 7. m$^2$당 수수는 토양 pH가 낮을 때 감소하였는데 그 정도는 새올보리에서 작은 편이었고 질소증시효과는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8. 수당립수는 질소증시효과가 별로 나타나지 않았고 pH의 효과는 새올보리, 팔달보리, 강보리 등에서 토양 PH가 낮을수록 감소되었다. 9. 1.000립중은 pH 4.5 수준에서 현저히 감소되었고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다. 10. 수량은 토양 pH가 낮을 때 현저히 감수되었고 생육기의 토양 pH는 모든 공시품종에서 수량과 고도의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으며 토양 pH에 따른 수량의 안정성은 저수품종에서 크고 다수품종에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1. 수량은 간장, 건물중, 수당립수 및 1,000립중 등과 고도의 유의상관을 나타내었고, 토양pH에 따른 이들 상관정도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