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한국제4기학회지)
- Volume 2 Issue 1
- /
- Pages.51-85
- /
- 1988
- /
- 1226-8448(pISSN)
The Palaeoenvironmental Changes and Macromammal Evolution during the Pleistocene in East Asia
동아시아의 제4기 자연환경의 변화와 젖먹이근동물의 제4기적 진화
- Sun Joo, Park (Department of Anthropology, Laboratory for Human Evolutionary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 Published : 1988.12.01
Abstract
The understanding of the faunal sequence and palaeoenvironment of East Asia since the Late Tertiary depends mainly on the knowledge of Chinese fauna and its environmental changes. The recent Chinese researches including geology, geomorphology, climats fluctuation and loess distribution of this area have provided that the rapid uplifting of Himalayas and Qinghai/Xizang Plateau since the Lower Pleistocene was a main selective factor for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changes in this vast territory. Although different concepts of the Plio-Pleistocene boundary have been provided, its boundary can not exceed over 2 mya. Instead of the traditional zoogeographical dicthomy in China, faunal compositions of Pleistocene are divided into three faunal zones. The knowledge of macrofaunal evolution in China are useful to understand the palaeoecology of East Asia. Palaeoenvironment of Korea during the Pleistocene Period can be reconstructed by using the analogy of the current Chinese studies.
중국과 한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에 제3기말기 이후 제4기홍적세 시기에 살았던 동물상의 연구와 자연환경의 연구는 주로 중국에서 이루어졌다. 최근 중국에서 이루어진 이 지역에 관한 지질학, 지형학과 기후의 변화 및 loess의 발달등에 관한 연구들은 초기 홍적세 시기에 진행되었던 히말라야와 청해/신장 고원의 빠른 용기 작용이 동아시아에서 진행되어온 자연환경의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홍적세의 상한 또한 2백만년을 넘을 수 없음을 밝혀주고 있다. 전기 홍적세 이후로 중국에서의 동물군은 크게 북중국, 남중국 그러고 중간지역 등의 3개의 동물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젖먹이근동물의 발달과정을 통해서 홍적세시기의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다. 한국선사시대 환경과 동물상은 같은 시기에 속하는 북중국의 자연환경 및 동물상과 비슷하였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