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배양토 재배를 통한 조경수 생장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Analysis of Landscape Trees with an Artificial Culture Soil

  • 안봉원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조경학과) ;
  • 김영구 (에덴녹화산업(주) 대표이사)
  • 발행 : 1988.07.01

초록

초경수림의 재배에 있어 연탄재와 도시하수처리에서 발생한 오니를 혼합하여 배양토를 만들어 상토로 사용하고 주목, 회양목, 쥐똥나무, 라일락 등 4개 수종의 생육을 비교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개 수종 공히 초기생장은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약간의 생육차이를 보였다. 2. 식재후 2개월이 지난 후 부터는 현격한 생장차이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3. 가장 높은 생장을 나타낸 것은 라일락이며 쥐똥나무, 회양목, 주목의 순이었다. 4. 특히 주목은 그 생장량 차이가 타수종에 비하여 현격하게 적게 나타나고 있다. 5. 이후 도시환경문제를 심각하게 만들고 있는 연탄재와 하수오니는 조경용 수목의 재배나 식재지객토로 활용한다면 매우 높은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landscape plants, the culture soil of briquet ashes and sludge cakes from urban drainages was used as a bed soil. And Taxus cuspidata, syringa vulgaris, Ligstrum obtusifolia and Buxus microphylla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materials on this soil. The comparison of their growth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Each plant showed a slight difference in primary growth and two months after planting,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between treated and control plots respectively. Syringa vulgaris shoved the highest growth and the next were Ligstrum obtusifolia and Taxus cuspidata in series. Especially Taxus cuspidata showed the lowest quantity of dry weight compared with other plants, and influenced a little by mean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It is expected to get a high effect in landscape planting by using briquet ashes and sludge cak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