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로호 수중생태계에서의 미생물 분포 및 활성도

Distributions and heterotrophic actibities of bacteria in Lake Paro

  • 안태석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 이동훈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발행 : 1988.09.01

초록

최근 평화의 댐 건설에 따른 영향으로 다량의 물을 방류하여 미생물 생태계의 큰 변화가 예상되는 파로호에서 미생물 분포 및 활성도에 관하여 1987년 1월부터 11월까지 격월로 조사, 연구하였다. 총 세균수는 $0.3\times 10^{5}-13.1\times10 ^{5}$cells/ml의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3월에 급격한 증가를 보여 $10.7\times 10^{5}-13.1\times10 ^{5}$ cells/ml 의 최고치를 나타애었다. 종속영양세균은 $1.9\times 10^{3}$ - $3.1\times 10^{4}$CFUs/m의 변화를 갖으며 총 세균수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Alpha-및 beta-glucosidase를 분비하는 세균의 비율은 지역적인 차이보다는 계절적인 변화가 우세하였으며 Phosphatase를 분비하는 세균의 비율은 22.7-63.0%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전자전달계 활성도는 480-1696${\mu}gO_{2}$/l/day의 변화를 갖으며 지역적으로 유입수에서, 계절적으로 여름에 높았다. 유기연산염의 분해율은 0.4-9.1%/h로 다른 댐보다 낮았으며,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분해율이 커졌으며 Phosphatase를 분비하는 세균의 비율변화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였다. 종속영양세균의 생리적 활성도는 여름의 최고치가 8.2%/h로 계절적으로 DOM 증가 에 따른 활성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파로호의 급격한 변화는 세균류의 개체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냐, 활성도 및 특정호소 분비세균비율에는 영향을 주지 못 하였다. 활성도 및 특정효소 분비비율은 계절적 소장이 뚜렷하여, 식물성플라크톤의 증식과 일차 생산력과의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The distributions of bacterial numbers and activities were studied bimonthly in 1987, at 3 sites in Lade Paro for elucidating the changes by disturbance of aquatic ecosystem. The total bacterial number was $0.3\times 10^{5}-13.1\times ^{5}$ cells/ml. The geterotrophic bacterial number had the variance from $1.9\times 10^{3}$ CFUs/ml to $3.1\times 10^{4}$CFUs/ml and the variation trend was similar to that of the total bacterial number. The proportions of alpha-glucosidase or beta-glucosidase releasing bacteria showed temporal changes rather than spatial changes. The proportions of phosphatase releasing bacteria had the maximum values, 22.7-83.0%, in July. The electron transpory system activity revealed the variation from $480{\mu}gO_{2}$/l/day to $1696{\mu}gO_{2}$/l/day and hagher values at upper stream and in summer. The degradation fraction by phosphatase was 0.4-9.1%/h and increased with temperature. The maximum value of heterotrophic activity was 8.2%/h in summer. Eventhough the distributions of total bacteria and heterotrophic bacteria were affected by the water disturbance but microbial activities and proportions of the specific enzume releasing bacteria were not affec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