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s and heterotrophic actibities of bacteria in Lake Paro

파로호 수중생태계에서의 미생물 분포 및 활성도

  • 안태석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 이동훈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88.09.01

Abstract

The distributions of bacterial numbers and activities were studied bimonthly in 1987, at 3 sites in Lade Paro for elucidating the changes by disturbance of aquatic ecosystem. The total bacterial number was $0.3\times 10^{5}-13.1\times ^{5}$ cells/ml. The geterotrophic bacterial number had the variance from $1.9\times 10^{3}$ CFUs/ml to $3.1\times 10^{4}$CFUs/ml and the variation trend was similar to that of the total bacterial number. The proportions of alpha-glucosidase or beta-glucosidase releasing bacteria showed temporal changes rather than spatial changes. The proportions of phosphatase releasing bacteria had the maximum values, 22.7-83.0%, in July. The electron transpory system activity revealed the variation from $480{\mu}gO_{2}$/l/day to $1696{\mu}gO_{2}$/l/day and hagher values at upper stream and in summer. The degradation fraction by phosphatase was 0.4-9.1%/h and increased with temperature. The maximum value of heterotrophic activity was 8.2%/h in summer. Eventhough the distributions of total bacteria and heterotrophic bacteria were affected by the water disturbance but microbial activities and proportions of the specific enzume releasing bacteria were not affected.

최근 평화의 댐 건설에 따른 영향으로 다량의 물을 방류하여 미생물 생태계의 큰 변화가 예상되는 파로호에서 미생물 분포 및 활성도에 관하여 1987년 1월부터 11월까지 격월로 조사, 연구하였다. 총 세균수는 $0.3\times 10^{5}-13.1\times10 ^{5}$cells/ml의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3월에 급격한 증가를 보여 $10.7\times 10^{5}-13.1\times10 ^{5}$ cells/ml 의 최고치를 나타애었다. 종속영양세균은 $1.9\times 10^{3}$ - $3.1\times 10^{4}$CFUs/m의 변화를 갖으며 총 세균수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Alpha-및 beta-glucosidase를 분비하는 세균의 비율은 지역적인 차이보다는 계절적인 변화가 우세하였으며 Phosphatase를 분비하는 세균의 비율은 22.7-63.0%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전자전달계 활성도는 480-1696${\mu}gO_{2}$/l/day의 변화를 갖으며 지역적으로 유입수에서, 계절적으로 여름에 높았다. 유기연산염의 분해율은 0.4-9.1%/h로 다른 댐보다 낮았으며,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분해율이 커졌으며 Phosphatase를 분비하는 세균의 비율변화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였다. 종속영양세균의 생리적 활성도는 여름의 최고치가 8.2%/h로 계절적으로 DOM 증가 에 따른 활성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파로호의 급격한 변화는 세균류의 개체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냐, 활성도 및 특정호소 분비세균비율에는 영향을 주지 못 하였다. 활성도 및 특정효소 분비비율은 계절적 소장이 뚜렷하여, 식물성플라크톤의 증식과 일차 생산력과의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