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orbate Oxidase를 이용한 Ascorbic Acid의 분광분석법에 의한 정량

Spectrophotometric Assay of L-Ascorbic Acid with Ascorbate Oxidase

  • Park, Keun-Hy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g-Hy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Hyun, Kyu-Haw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Yo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8.03.30

초록

오이에서 얻어진 AAO조효소를 이용하여 AsA 정량 가능성을 검토할 결과, AAO에 의한 산화 전후의 흡광도 차는 AsA 함량과 정비례한 관계를 나타냈다. AAO를 이용한 AsA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pH와 흡광도, 효소의 활성과 pH와의 관계, crude AAO의 pH 안정성, 효소의 농도와 반응시 간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흡광도 차가 최대를 나타낸 파장은 243nm였고, 효소의 활성이 최대를 보인 pH는 $pH\;6.0{\sim}7.5$범위였고, 본 실험에서 이용한 효소 농도로는 5분 이내에 산화반응이 종결되었다. 시판 오렌지쥬스의 AsA 함량을 AAO를 이용한 방법과 HPLC 방법에 의해서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본 방법으로 분석된 AsA함량과 HPLC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수치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냈으며, 본 방법에 의한 AsA회수율은 $98.3{\sim}99.8%$로 높은 검출효과를 보였다.

The difference of absorbance before and after oxidation of L-ascorbic acid(AsA) from cucumber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AsA. The effect of pH, enzyme concentration and reaction time on the AsA assay were examined. The values of AsA obtained by the present method and HPLC method agreed well in all ca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