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Soils and Crops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 - I. Effect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Change of Soil Environment

폴리에틸렌 멀칭재배시(栽培時) 농약(農藥)의 토양(土壤) 및 작물체중(作物体中) 잔류(殘留)에 관한 연구(硏究) - 제(第) 1 보(報) 토양환경상(土壤環境相)에 미치는 폴리에틸렌 피복(被覆)의 영향(影響)

  • Ryang, H.S.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Moon, Y.H.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N.E.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H.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양환승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문영희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낙응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이진하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87.10.30

Abstract

In the polythylene film mulching(P.E. mulching) culture, soil temperature ranked in the order of clear P.E.-, black P.E.-, and non-mulch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P.E mulching and non-mulching conditions was greatest in maximum temperature in fine day. Under the dry season, soil water content ranked in the order of black P.E.-, clear P.E.- and non-mulched soil. Under the rainy season, however, the content in non-mulched soil was higher than in the mulched soils,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lored films. In three phases of soil, liquid phase ratio was higher and gaseous phase ratio was lower in mulched soil than in non-mulched soil under the dry season. However, the opposite result was observed under the rainy season. The content of soil organic matter in red pepper field applied with the compost and mixed-fertilizer ranked in the order of black P.E.-, clear P.E.- and non-mulching conditions. However, the content between mulching and non-mulching differed little in peanut field applied with mixed-fertilizer. In red pepper field, soil nitrogen content in mulching conditions slightly differed from that in non-mulching conditions during the dry season. The soil nitrogen content decreased rapidly 86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during the rainy season. In peanut fiel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content between the two conditions. The nitrogen content in the leaves of red pepper and peanut was much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폴리에틸렌필름(P.E) 피복(被覆)이 토양(土壤)의 지온(地溫), 수분(水分), 삼상분포(三相分布), 비료(肥料)의 경시(經時)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온도(土壤溫度) : 최고(最高), 최저온도(最低溫度) 모두 투명(透明)P.E피복(被覆) > 흑색(黑色)P.E피복(被覆) > 노지(露地)의 순(順)으로 높았고, 투명(透明)과 흑색(黑色)의 P.E피복구(被覆區) 사이의 온도차(溫度差)는 $2{\sim}4^{\circ}C$, 투명(透明)P.E피복(被覆)과 노지구(露地區)사이에는 $6{\sim}^{\circ}C$였다. 피복유무(被覆有無)에 따른 지온차(地溫差)는 최저온도(最低溫度)에서보다 최고온도(最高溫度)에서 흐린 날 또는 강우시(降雨時)보다 청천일(晴天日)에서가 차(差)가 컸다. 2) 토양수분(土壤水分) : 건조기(乾燥期)에 있어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흑색(黑色)P.E > 투명(透明)P.E의 피복(被覆) > 노지(露地)의 순위(順位)로 높았으며, P.E피복구(被覆區)와 무피복구(無被覆區) 사이에는 5% 내외(內外)의 수분(水分) 함량차(含量差)를 나타냈다. 그러나, 우기(雨期)에는 P.E피복구(被覆區)보다 노지구(露地區)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7~8% 높았으나 P.E필름종류간(種類間)에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3) 토양삼상분포(壤三相分布) : 건조기(乾操期)에는 평균(平均) 액상비(液相比)가 노지구(露地區)에서보다 P.E피복구(被覆區)에서 3~4% 높았고, 기상비氣相比)는 P.E피복구(被覆區)보다 노지구(露地區)에서 높았다. 우기(雨期)에 있어서는 반대(反對)로 노지구(露地區)에서보다 P.E피복구(被覆區)에서 기상비(氣相比)가 7~8% 적었고, 기상비(氣相比)는 노지구(露地區)보다 P.E피복구(被覆區)에서 컸다. 4) 토양중(土壤中) 비료성분(肥料成分)의 변화(変化) : 퇴비(堆肥)와 복비(複肥)를 시용(施用)한 고추포장(圃場)에서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시용(施用) 58일(日)까지는 흑색(黑色)P.E > 투명(透明)P.E의 피복(被覆) > 노지구(露地區)의 순(順)으로 높았으나 그 후(後)에는 차(差)가 좁혀졌다. 복비((複肥)만 시용(施用)한 땅콩포장(圃場)에서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시용(施用) 30일(日) 후(後)까지는 노지구(露地區)에서가 투명(透明) P.E피복구(被覆區)에서보다 약간(若千) 높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그 후(後)부터는 차(差)가 없었다 고추포장(圃場)에 있어서 질소함량(窒素含量)은 건조기간(乾燥期間) 중(中)에는 P.E피복유무간(被覆有無間)에 근소(僅少)한 차(差)를 보였으나 시비(施肥) 86 일(日) 후(後)인 우기(雨期)에는 피복구(被覆區)보다 노지구(露地區)에서 그 함량(含量)이 급속(急速)히 감소(減少)되었다. 땅콩포장(圃場)에 있어서 질소함량(窒素含量)은 피복(被覆) 유무간(有無間)에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시비(施肥) 36 일(日) 후(後)까지는 서서히 그 양(量)이 감소(減少)하였으나, 58 일(日) 이후(以後)부터는 급감(急減)하였다. 땅콩과 고추의 잎 중(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은 P.E피복구(被覆區)가 노지구(露地區)보다 뚜렷이 높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