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아 조기발견과 관련된 모자인자

Maternal and Child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Detection of Cerebral Palsy

  • 배성수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박정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Bae, Sung-Soo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g-H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7.11.01

초록

뇌성마비아의 조기 발견에 관련된 모자인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7년 2월부터 1987년 4월까지 대구 장애자 복지관, 대구대학교 부설재활원, 성바오로 어린이집, 그리고 부산 뇌성마비아복지회에 통원 또는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어린이 110명중 1980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74명 전원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면담조사 하였다. 아버지의 학력과 이상 발견시기와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어머니의 학력이 대학졸업이상 일때가 고졸이하에 비해 어린이의 이상을 일찍 발견했고, 또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 또는 관리직일 때가 그 이외의 직업에 비해, 그리고 아버지의 월수입이 610,000원이상 일때가 600,000원 이하보다 더 일찍 발견하는 경향이었다. 첫째아이가 둘째아이 보다 그리고 부모의 나이가 34세 이하인 경우가 35세 이상인 경우에 비해 좀더 일찍 이상을 발견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아에서 여아에 비해 더 일찍 이상이 발견되었고 육아상담을 정기적으로 받은 어린이에서 정기적으로 받지 않은 어린이보다 더 일찍 이상이 발견되었는데 5% 유의수준에는 약간 못미쳤다. 연구대상아를 임신했을 때 산전관리를 7회이상 받았던 경우가 6회이하 받았던 경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일찍 어린이의 이상이 발견되었다. 처음으로 이상을 발견한 사람은 부모가 85.1%, 육아 상담을 정기적으로 받은 여부와는 관계없이 의사가 발견한 것은 2.7%였고 부모가 어린이의 이상을 발견하고 의사의 진단을 받았을때 36.5%에서 뇌성마비 진단을 받았고 나머지는관찰, 정상등으로 진단이 확실하지 않았다. 부모가 어린이의 이상을 발견하고 $2{\sim}3$개월 뒤에 의사의 진단을 받았고 진단후 전문적 치료를 시작할 때까지 방치했거나 물리치료, 한약, 침술 등을 받았다. 뇌성마비아의 조기 발견을 위해 의학교육과 임상수련과정에서 어린이의 발달을 평가하는 방법의 교육과 수련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진단을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부모들의 뇌성마비를 비롯한 각종 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계몽교육이 필요하다.

To investigate the maternal and child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detection of cerebral palsy, 74 mothers of cerebral palsy children who were born since January 1, 1980 and being treated at Taegu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Handicapped, Rehabilitiation Center of Taegu University, St. Paul Children's House and Pusan Welfare Association of Cerebral Palsy Children were interviewed from February to April 1987. There is no association between age of child when parents noticed the child's abnormality and educational level of father but it tend to be detected earlier when education level of mother is college or above compared with high school or under. There is a trend of earlier detection of child's abnormality al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case father is professional or managerial worker, monthly income of father is over \610,000, child is first-born, age of the parents is 34 years or under, child is a boy, and child has periodic well-baby check-up. The child's abnormality is detected earlier when mothers had 7 prenatal visits or more compared with those who had 6 visits or less (p<0.05). Parents noticed the child's abnormality first in 85.1% of the cases whereas doctors detected it first in 2.7% and this percentage was not different whether the child had periodic well-baby check-up or not. The first physician's diagnosis of the children was cerebral palsy in 36.5% and the rest was normal, need for observation, uncertain, etc. Parents took the child to doctor for diagnosis 2-3 months after they noticed the child's abnormality and after the child was diagnosed as cerebral palsy parents either took no therapeutic measure or brought the child to physiotherapy or acupuncture or gave herb medicine before they started specific rehabilitative therapy. For early detection of the cerebral palsy children, teaching of evaluation method for child development should be reinforced both in medical school and clinical training course and should train the specialis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rippling conditions. Also, public education is needed for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crippling conditions and currently available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