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보건지료원의 업무활동 분석

A Survey on Activitie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Rural Area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1987.12.30

초록

농촌의 일차보건의료사업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보건진료원의 업무활동을 분석함으로 활동내용의 개선방향과 그들의 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상북도내의 26명의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1987년 11월 16일부터 12월 5일사이의 통상적인 활동기간을 택하여 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6일간 출근에서 퇴근까지의 활동상황을 자가기록방법(work diary method)에 의해 조사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당 평균 활동시간은 2,918분이었다. 연령과 보건진료원 경력이 많을수록 더 많은 시간을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혼자보다는 기혼자가 더 많은 시간을 활동하였다. 총 활동시간 중 보건진료소내 근무가 79.8%였고 보건진료소외가 20.2%를 차지하였다. 보건진료소외 근무에 있어서 연령과 경력이 적을수록 그리고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더 많이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영역별 시간 배분은 기술업무수행이 46.3%로 제일 많았고 행정업무는 18.7%를 차지하였다. 기술 업무에 있어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연령과 경력이 적을수록 더 많이 활동하였다. slack time은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길었다. 기술업무는 보건진료소내 근무중 45.3%를 차지하였고 보건진료소외 근무중 50.2%를 차지하였다. 기타업무에 소요된 시간과 slack time은 보건진료소내 근무에서보다 보건진료소외 근무에서 현저히 적었다. 기술업무 중 환자치료활동은 63.1%이었고, 기타 서비스는 36.9%을 차지하였다.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그리고 경력이 많을수록 환자치료활동에 소비한 시간이 많았고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공중보건활동에 소비한 시간이 적었다. 행정업무 중 각종 기록 및 대장정리에 61.6%를 소비하였고 마을건강원회의에 소비된 시간은 4.2%에 불과하였다. 마을건강원회의에 소요된 시간은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많았다. 총 근무시간을 활동내용별로 분석하면 환자치료활동이 29.2%로 제일 많았고, 기타활동, 각종기록 및 대장정리의 순이었다. 보건진료소내 활동은 환자치료활동이 33.9%, 공중보건활동이 11.4% 이었고, 보건진료소외 활동은 각각 10.9% 및 39.1%이었다. 보건진료원의 직무영역별 활동상황을 분석하면 통상질환관리에 소요된 시간이 49.7%로 제일 많았고 지역사회접근은 2.4%로 제일 적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보건진료원은 보건진료소내에서 주로 활동하며 예방보건활동보다는 진료활동에 더 치중하고 있다. 농촌의 일차보건의료사업의 정착을 위해서는 보건진료원 보수교육을 통하여 그리고 도, 군단위의 기술지도체계의 확립과 운영으로 건강증진업무의 강화와 지역사회개발사업에 관련된 활동에 적극 참여토록 유도해야겠다고 생각한다.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CHP) play an important role in primary health care services to the underserved population in rural area. Time and motion study of 26 CHPs in Kyungpook Province was conducted through work diary method for 6 consecutive days from the time they arrived until they left the primary health post(PHP) during the past 3 weeks from November 16 to December 5, 1987. The allocation of activity time by working category, service category, location of activity and CHP's func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Ps i. e., age, marital status and experience as CHP.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The mean activity time per CHP in a week was 2,918 minutes. The length of their working hours was longer for older, married and more experienced CHPs than others. About 80% of the CHP's activities took place within the PHP and only about 20% occured outside of the PHP. Working hours for the outdoor activities were longer for younger, single and less experienced CHPs than others. The allocation of activity time by working category showed 46.3% in the technical work and 18.7% in the administrative work. Working hours for the technical activities were longer for younger, single and less experienced CHPs than others. The percentage of activity time revealed greatest as much as 63.1% for direct patient care in technical work and 61.6% for record keeping in administrative work. Of the total working hours in a week, direct patient care and public health activities accounted for 29.2% and 16.2%, respectively. Of the indoor activities, working hours for direct patient care were longer than those for public health activities. However, of the outdoor activities, working hours for public health activities were longer than those for direct patient care. The allocation of activity time by CHP's function showed 49.7% in management of common disease, 31.8% in management of PHP and technical supervision of village health workers, 9.5% in MCH and family planning, 6.6% in community health management and 2.4% in community approach.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found that CHPs were mainly working in the PHP with a majority of their time being spent for direct patient care rather than preventive and promotive health cares. To enhance the preventive and promotive health services of the CHPs and to involve the activities for community development, refresher course for CHPs should be reinforced and supervision mechanism of the CHPs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in Gun- and province-level.

키워드